市 “출근길 지하철 증차 대책”
무료 셔틀버스 별도운영 안해
서울 시내버스 노조가 연휴가 끝나는 7일 첫차부터 준법투쟁(안전운행)을 재개한다.
서울시는 “7일부터 시내버스 노조에서 준법투쟁 재개를 예고함에 따라, 시민 불편 최소화를 위한 특별 교통대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6일 밝혔다.
준법운행은 승객이 탑승 후 자리에 앉는 등 안전이 확보된 것을 확인 후 출발하거나, 앞서가는 차를 추월하지 않는 식의 방법으로 버스의 연착을 유도하는 방식이다.

노조는 사측과의 최종 협상이 결렬된 후 지난달 30일 하루 경고성으로 준법투쟁을 했다. 이후 이달 1일부터 연휴 기간에는 정상적으로 운행해왔다.
시는 지난달 준법투쟁 때와 마찬가지로 혼잡 완화 및 대중교통 이용 불편 해소를 위해 지하철의 출근 주요 혼잡시간을 오전 7∼10시로 1시간 확대 운영한다. 이 시간대에 1∼8호선과 우이신설선의 열차투입을 47회 늘릴 예정이다. 다만 준법투쟁 때 시내버스 이용에 큰 불편이 발생하지 않았던 점을 고려해 자치구 무료 셔틀버스는 별도로 운영하지 않는다.
시는 선행 차량의 장시간 정류소 정차와 의도적 지연 운행 등으로 인한 소위 ‘버스열차’ 현상이 재발하지 않도록 공무원을 주요 중앙버스전용차로 정류소에 배치해 불필요한 장시간 정차 행위 등을 확인하는 즉시 현장에서 조치할 계획이다. 시내버스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차량 흐름을 저해하는 고의적 감속 운행, 출차·배차 지연 행위에 대한 모니터링도 지속한다.
지난달 29일 협상이 결렬된 이후 노사 간 공식 교섭은 사실상 중단된 상태로 전해졌다. 노조 측은 전국자동차노조 지역 대표자 회의가 예정된 8일을 사실상 기한으로 시와 사측에 성실 교섭을 촉구해 왔다. 이들은 대표자 회의에서 파업시기와 방법 등 구체적 계획을 논의·확정할 것으로 보인다.
여장권 시 교통실장은 “고의 지연이 의심되는 행위에는 단호히 대처해 시민들의 대중교통 이용에 불편이 발생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협상이 타결될 때까지 시민 여러분의 이해와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