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2040, 청년기 최대 과업은 '일'…결혼·자녀는 뒷전"

입력 : 2025-05-06 08:53:20 수정 : 2025-05-06 08:53:19

인쇄 메일 url 공유 - +

국민통합위 '2040 가족·노동역할 태도와 실태 연구' 보고서
"여성 노동시장 참여 전제해 정책적 지원 강화 필요" 제언

20∼40대는 일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결혼·자녀 등은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6일 국민통합위원회가 발주한 '2040 가족·노동역할 태도와 실태 연구' 보고서에는 20∼40대의 가족 및 노동역할 변화에 대한 인식 등을 조사한 결과가 실렸다.

이번 조사는 25∼44세 남녀 2천690명을 대상으로 올해 1월 31일부터 2월 14일까지 온라인으로 이뤄졌다.

시민들이 출근길 발걸음을 재촉하고 있다.

◇ 청년기 과업 중 가장 중요한 건 '일'…일 의미로는 "생계 위해"

청년기 삶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과업의 중요성에 대한 질문에는 남녀 모두 '일'(38.1%)이 가장 중요하다고 답했다.

'여가·자아실현 등 개인생활'이 23.1%, '연애·결혼 등 파트너십'이 22%, '자녀'가 16.8%로 뒤따랐다.

일 외 우선순위는 남녀 차이가 있었다.

여성은 일(37.6%), 개인생활(24.5%), 파트너십(20.9%), 자녀(17%) 순인 반면에 남성은 일(38.6%), 파트너십(23.1%), 개인생활(21.7%), 자녀(16.6%) 순이었다.

연령, 성별과 관계없이 모든 집단이 일을 가장 중요하다고 응답했고, 자녀는 40대 초반 여성을 제외하고는 모든 연령대에서 응답률이 가장 낮았다.

무자녀뿐만 아니라 자녀가 있는 경우에도 모든 집단이 일이 가장 중요하다고 답했다.

0∼5세 자녀가 있는 여성의 경우 일(30.6%)과 자녀(29.1%)의 응답률이 비등했지만, 같은 나이대 자녀가 있는 남성은 일(35.2%)이 자녀(25.6%)보다 중요하다고 보는 비율이 더 높았다.

베이비&키즈페어를 찾은 시민들이 육아용품을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일의 의미에 대해 전체 응답자의 78%는 '생계를 위해서는 일할 수밖에 없다'고 인식했다.

'가능한 한 회사에서 일해서 인정받고 정년을 맞이하고 싶다'는 질문에는 62%가, '더 많이 일하더라도 경제적으로 성공하고 싶다'는 질문에는 61.6%가 동의했다.

'생계를 위해 돈을 버는 일은 최소한만 하고, 나의 시간을 충분히 가지고 싶다'와 '안정된 일자리가 아니어도 자아를 실현할 수 있는 일을 하고 싶다'는 문항에는 각 50.5%, 39.3%만이 긍정적으로 답했다.

◇ '女 노동시장 참여' 필요성 남녀 모두 동의…"정책 지원 강화해야"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 필요성에 대한 문항에는 여성이 80% 안팎의 높은 동의율을 보였고, 남성도 70%가량이 동의했다.

엄마의 일이 자녀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문항에는 남녀 모두 크게 동의하지 않았다.

여성의 동의도는 영유아 자녀와 초등 자녀에 대해 각각 18.4%, 13.9%에 불과했고, 남성의 경우에도 각각 22.6%, 18.3%로 낮았다.

아울러 남성의 가사노동 참여와 양육 역할 참여와 관련된 문항들은 남성(약 70%)과 여성(약 80%) 모두 동의도가 높았고, 특히 맞벌이인 경우 가사와 돌봄에 남성이 실제로 상당히 참여했다.

부부 사이에서 아이 양육자의 소득 활동을 조정하는 것에는 과반수의 응답자가 긍정적으로 인식했다.

부부간 경제적 부양과 집안일 분담을 조정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여성보다 남성이 경제활동 여건에 따라 집안일을 줄이는 것을 긍정적으로 봤다.

노동, 가사·돌봄 참여 영역의 성 불평등 심각성 관련 질문에서 응답자들은 '임신, 육아, 돌봄 등으로 인한 여성의 경력 단절'(80.2%)이 가장 심각하다고 인식했다.

'가사, 육아, 돌봄에서 남성의 낮은 참여'(72.8%)와 '성별 고정관념에 따른 직종과 직업 분리'(72.8%)가 동률로 뒤를 이었다.

보고서는 "여성의 노동역할 강화와 남성의 가족 참여 확대라는 성 역할 변화에 남녀 모두 높은 동의도를 보이는 만큼 이런 방향으로의 정책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시점"이라며 "전업주부를 전제하는 정책은 점차 실효성을 거두기 어려울 것이므로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를 기본으로 하는 정책적 지원의 강화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연합>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전지현 '눈부신 등장'
  • 전지현 '눈부신 등장'
  • 츄 '상큼 하트'
  • 강지영 '우아한 미소'
  • 이나영 ‘수줍은 볼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