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중학생들이 국제 학업 평가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고 있지만, 친구 관계와 자주성 등 삶의 질을 가늠할 수 있는 지표에서는 하위권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일 교육계에 따르면, 한국교육개발원(KEDI)은 최근 발표한 ‘중등학교 인문교양 수준의 국제 비교 결과’ 보고서에서 이 같은 분석 결과를 공개했다. 이번 분석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7개국 15세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된 2022년 국제학업성취도평가(PISA) 데이터를 기반으로 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학생들은 수학과 과학에서 각각 2위, 읽기(국어)에서 3위를 기록하며 학업성취도 부문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성과를 보였다. 인문교양(5위), 창의적 사고(9위), 사고 표현(11위) 등 인지 능력 중심의 영역에서도 양호한 결과를 냈다.
반면, 사회성과 정서적 역량을 반영하는 지표에서는 부진했다. 부모와의 관계는 12위였지만, 친구와의 관계는 36위로 거의 꼴찌 수준이었다. 교사와의 관계는 1위를 차지했지만, 또래와의 관계 형성에서는 큰 약점을 드러낸 셈이다.
협업 능력도 지표별 편차가 컸다. 신뢰는 2위로 높았지만, 공감(12위)과 협력(26위)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감정조절 영역에서도 감정 표현은 12위, 회복탄력성은 19위에 그쳤다.
자아정체성과 관련된 항목에서도 독립성은 2위로 높은 수준이었지만, 주체성은 20위, 자주성은 33위로 크게 떨어졌다. 일상생활 만족도(27위), 여가생활(36위), 진로 탐색(29위) 등 삶의 향유 지표 역시 대체로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보고서는 “한국 학생들은 예상을 뛰어넘는 학업 성취를 보였지만, 정작 관계 형성과 자아실현 같은 비인지적 영역에서는 심각한 약점을 드러냈다”고 지적했다.
이어 “중학생 시기는 인지·정서·사회성 발달이 결정적으로 형성되는 시기로, 자율성과 존엄성을 내면화할 수 있는 교육이 중요하다”며 “학교 교육과정 전반에 걸쳐 인문교양 중심의 교육을 확대하고, 학생이 자신과 사회를 비판적으로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넓혀야 한다”고 강조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