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서울서 아기 낳고 내집 마련은 욕심인가요?” [뉴스+]

입력 : 2025-03-08 05:00:00 수정 : 2025-03-07 14:16:26
양다훈 기자 yangbs@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게티이미지뱅크

 

서울에서 아이를 낳고 내 집 마련을 하는 것은 이제 욕심이 되어버린 걸까?

 

최근 서울 강남 3구를 중심으로 아파트 매매가격이 급등하고 있다. 6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3월 첫째 주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조사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0.14% 상승하며 전주(0.11%)보다 오름폭이 커졌다. 특히 송파구는 0.68% 급등해 2018년 이후 7년 1개월 만에 최대 상승폭을 기록했다. 강남구(0.52%), 서초구(0.49%)도 함께 상승세를 보이며 서울 집값의 가파른 상승을 이끌고 있다.

 

이 같은 집값 상승 속에서 지난해 서울의 합계출산율은 9년 만에 반등했다. 통계청과 서울시에 따르면, 2023년 서울 합계출산율은 0.58명으로 전년(0.55명)보다 소폭 증가했다. 성동구(0.71명)가 가장 높은 출산율을 기록했고, 강남·양천·구로구 역시 출산율이 올랐다. 반면 금천·강북·중랑·영등포·노원구 등 5개 자치구에서는 출산율이 하락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신규 아파트 입주 물량이나 신혼부부 선호 지역이 출산율 변화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MZ세대의 주거 패턴 변화는 이러한 흐름과 맞물려 또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높은 집값과 소득 대비 턱없이 높은 주택 가격으로 인해 MZ세대는 내 집 마련을 포기하는 경향이 커지고 있다. 

 

4일 서울시내 한 공인중개사무소에 아파트 거래정보가 게시돼있다. 뉴시스

 

이날 KB부동산에 따르면 서울의 평균 아파트 매매가격은 12억원대에 달하며, 연봉 7500만원인 가구가 중간 가격의 아파트를 사려면 한 푼도 쓰지 않고 11년 이상 모아야 한다. 게다가 MZ세대는 독립적인 생활 방식을 선호하며, 대형 아파트보다는 원룸, 오피스텔, 쉐어하우스 등의 주거 형태를 선택하는 경향이 강하다.

 

서울에서 직장 생활을 하는 김모(41)씨는 “집값이 너무 비싸 내 집 마련이 비현실적으로 느껴진다”며 “전세로 살고 있지만 매년 전세금이 오르는 걸 보면 불안할 수밖에 없다”고 토로했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결혼이나 출산이 주택 구매의 주요 계기가 되지만, MZ세대는 결혼을 미루거나 비혼을 선택하는 비율이 높아지면서 집을 사려는 수요도 줄고 있다”고 분석했다.


오피니언

포토

아이들 슈화 '반가운 손인사'
  • 아이들 슈화 '반가운 손인사'
  • 신예은 '매력적인 손하트'
  • 김다미 '깜찍한 볼하트'
  • 문채원 '아름다운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