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통근 등 ‘체류’ 2000만명
관광도시 구례, 등록 인구의 18배
우리나라 인구감소지역의 ‘생활인구’가 주민등록인구(490만명)의 5배 수준인 약 2500만명으로 나타났다.
행정안전부는 올해 1분기 전국 89개 인구감소지역의 생활인구를 산정한 결과 2453만1000명(1∼3월 평균)으로 집계됐다고 25일 밝혔다. 생활인구는 주민등록상 실제 그 지역에 등록된 인구와 통근·통학·관광 등의 목적으로 방문해 체류하는 ‘체류인구’를 합한 개념이다. 월 1회, 하루 3시간 이상 지역을 방문하면 체류인구로 본다. 정부는 생활인구 산정을 위해 행안부의 주민등록정보와 법무부의 외국인등록 정보, 이동통신 3사의 데이터를 결합해 집계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들 인구감소지역의 생활인구는 1월 2274만9000명, 2월 2586만9000명, 3월 2497만5000명으로 집계했다. 이들 지역 등록인구는 490만명으로, 체류인구는 생활인구의 80% 수준이었다. 모든 인구감소지역에서 등록인구보다 체류인구가 많았다. 특히 전남 구례군은 체류인구(44만9206명)가 등록인구(2만4196명)의 18.4배로 다른 지역보다 월등히 높았다. 구례군 인구가 워낙 적은 데다 지리산·섬진강 등의 관광 자원으로 관광 목적의 체류인구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는 설명이다.
경북과 강원은 생활인구의 활력도가 양호한 지역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조사에서 △등록인구 대비 체류인구 배수 △타 시·도 거주자 체류 비율 △재방문율 △평균 체류일수 △평균 숙박일수 △평균 체류시간 6개 지표를 통해 지역의 활력을 평가하는데, 경북·강원지역은 4개 지표에서 전체 인구감소지역의 평균을 웃돈 것으로 파악됐다.
인구감소지역의 평균 체류일수는 3.4일, 숙박한 경우에는 4.0일을 머무는 것으로 분석됐다. 체류일수는 광역시 지역이 4.1일로 가장 길었고 이어 강원(3.6일), 경북(3.3일) 등의 순이었다. 숙박형 체류인구 비중은 강원이 45.3%로 가장 높았다.

한편 윤석열 대통령은 이날 충남도청에서 제7회 중앙지방협력회의를 주재하면서 “인구 문제는 지금 대한민국이 당면한 도전 중 가장 큰 도전”이라고 지적했다. 윤 대통령은 “저출생 고령화와 수도권 집중 현상이 맞물리며 지역소멸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며 “지역이 각각 경쟁력을 갖고 잘 살면 저출생 문제도 자연스럽게 개선될 수 있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회의 참석자들에게 “진정한 지방 시대를 여는 것이 저출생 극복의 길임을 명심하고 지방에 대한 과감한 권한 이양과 재정 지원을 적극 추진해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