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마트 등 아시아계 식료품점이 미국 전역에서 인기를 얻고 있다. 더이상 과거와 같은 틈새시장 사업이 아닌 미국 내 새로운 '문화 현상'이 된 것이다.
지난 11일(현지시간) 미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H마트는 1982년 뉴욕시 퀸스 우드사이드의 작은 한인 슈퍼마켓으로 문을 열어 현재는 미국에서만 90여 개 점포를 둔 대형 식료품 체인으로 성장했다.
H마트는 경북 예천 출신인 권중갑 회장이 1982년 뉴욕 퀸스에 낸 260m²(약 80평) 크기의 식료품 가게에서 출발했다.

시카고에서 첫 매장을 연 인도 식료품점 ‘파텔 브라더스’나 캘리포니아주에 본거지를 둔 중국 식료품점 ‘99 랜치마켓’도 이민자들을 대상으로 한 동네 슈퍼마켓에서 H마트처럼 대형 유통 체인으로 성장한 경우다.
식료품 업체는 미국 내 아시아계 이민자들이 급속도로 증가하던 1970∼1980년대 무렵부터 고향 음식이나 식재료를 판매하면서 이민자 지역사회의 필수 구심점 역할을 해왔다.
그러나 이 같은 업체들은 이제 모바일 주문 애플리케이션과 전국 단위의 매장을 갖춘 세련된 디자인의 유통체인으로 탈바꿈하고 있다고 NYT는 소개했다.
미국 내 아시아 인구 비중이 많이 늘어난 데다 수많은 비(非)아시아계 미국인들이 신라면과 같은 새로운 맛을 갈구하고 있는 영향이라는 게 NYT의 분석이다.
H마트의 경우 기업가치가 20억 달러(약 2조7천억원)에 달하며 지난달엔 샌프란시스코의 쇼핑센터를 3천700만 달러(약 510억원)에 통째로 사들이기도 했다.
파텔브라더스는 미 20개 주에 52개 점포를 두고 있으며 2년 내 6개 점포를 추가로 열 예정이다. 99랜치 역시 11개 주에 62개 점포를 둔 상태다.
아시아 식품 전문 온라인 쇼핑몰인 ‘위(Weee!)’는 기업 가치가 41억달러(5조6000억원)에 달한다는 평가를 받는다.

컨설팅업체 맥킨지의 딤프커 카위퍼르스 파트너는 “아시아계 슈퍼마켓이 미국 내 식품 유통업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여전히 1% 미만에 불과하다”면서 “하지만 실제 시장이 미치는 영향력을 훨씬 막강하다”고 분석했다.
최근 한식을 비롯한 아시아 음식이 미국에서 폭발적인 인기를 얻고 있는 가운데 H마트 등 아시아계 유통 체인이 월마트 등 메이저 유통체인의 제품군 구비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다.
시장조사업체 서카나에 따르면 미국 내 슈퍼마켓에서 ‘아시아·전통음식’ 코너 매출은 지난해 4월부터 올해 4월까지 1년간 약 4배 수준으로 급증한 것으로 집계됐다.
미국 내 주류 유통시장에서 아시아 식품의 인기가 치솟고 있는 가운데 H마트 등 아시아계 유통 체인이 비아시아계 미국인들을 대상으로 아시아 식품에 대한 접점을 넓혀주는 가교 역할을 하고 있는 셈이다.
농심 아메리카의 케빈 장 마케팅 디렉터는 “아시아계 식료품점이 없으면 미국 주류 유통시장에 진출하기가 매우 어렵다”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