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K-드라마 인가?”…‘패러디·AI’ 활용 한국 개표방송에 외신 주목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 총선

입력 : 2024-04-10 13:25:20 수정 : 2024-04-10 14:21:21

인쇄 메일 url 공유 - +

대중문화·AI·그래픽 활용 등 개표방송 반응 소개
‘선거쟁점 흐릴 수 있다’ 일부 부작용 우려도 주목

한국 방송사들이 준비한 총선 개표방송이 ‘마치 K-드라마 같다’는 평가를 받으며 외신의 주목을 받고 있다.

 

영국 BBC 방송은 10일 ‘이것은 K-드라마인가? 아니다. 한국 선거의 밤이다’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한국 주요 방송사들이 총선 개표방송에서 대중문화, 인공지능(AI), 그래픽을 활용해 재미있는 프로그램을 선보일 예정이라고 주목했다. 

 

BBC방송은 SBS가 2003년 처음 방영돼 큰 인기를 끈 드라마 ‘천국의 계단’을 패러디한 장면과 톰 크루즈 주연의 영화 ‘미션 임파서블’을 모방한 장면을 개표방송에서 내보낼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는 SBS의 개표방송이 1년 동안 노력을 기울인 결과라고 소개했다. 지구촌 최대의 스포츠 축제인 올림픽을 준비하는 것 같다는 방송 기획자의 의견을 전하기도 했다. BBC에 따르면 SBS는 개표방송을 준비하는 데 70명이 동원됐고, 선거일 밤에는 약 200명이 작업할 것으로 알려졌다.

 

BBC방송은 또 KBS가 개표방송에서 AI로 구현한 후보들의 아바타가 랩 배틀을 하는 코너를 준비했다는 점도 주목했다. 이들 아바타는 공약 정책을 개사한 음원으로 노래와 춤을 뽐낼 것으로 전해졌다.

 

BBC는 방송사들의 이런 시도를 둘러싼 명암을 조명하기도 했다. 일단 지루하지 않게 지인, 가족 간 대화를 자극해 일부 젊은 유권자들을 사로잡았다는 점이 긍정적으로 부각됐다. 밈(meme·인터넷 유행 콘텐츠)과 컴퓨터 그래픽 덕분에 정치인들의 권위주의적 이미지가 더 접근하기 쉬워지면서 정치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젊은층의 반응을 소개했다. 고령층에서 시끄럽고 산만하다는 평가가 나오는 등 모든 유권자가 방송사들의 참신한 개표방송에 만족한 것은 아니라는 반응도 전했다.

 

부작용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소개됐다. 일각에서는 AI, 그래픽 등을 동원한 개표방송이 시청률을 높일 수 있지만 경제 문제, 고령화, 생활비 상승 등 선거 쟁점들의 중요성이 간과되는 측면이 있다는 것이다.


조성민 기자 josungmi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김다미 '완벽한 비율'
  • 김다미 '완벽한 비율'
  • 조보아 '반가운 손인사'
  • 트리플에스 김유연 '심쿵'
  • 트리플에스 윤서연 '청순 매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