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손이 없는 독립유공자와 미귀환 국군포로를 기억하고 추모하기 위한 조형물이 건립돼 제막된다.
국가보훈부는 27일 오후 2시 국립대전현충원 보훈동산에서 강정애 장관과 광복회, 국군포로단체 관계자, 학생 등 16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무후(無後) 독립유공자 및 미귀환 국군포로 추모시설 제막식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날 제막되는 추모시설은 후손과 묘소가 없어 국립묘지에 안장되지 못한 독립유공자 약 7000명을 위한 추모 명비와 6·25전쟁 중 포로로 잡힌 뒤 조국으로 돌아오지 못한 참전용사 7만여명의 귀환을 바라는 두 개의 조형물이다.
지난해 6월부터 12월까지 제작된 조형물에는 총 9억 원이 투입됐다.
무후 독립유공자 추모시설은 ‘독립의 염원이 모이는 길’이라는 주제로 수많은 독립유공자들이 조국독립을 위해 한길로 모여 독립의 문을 열었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미귀환 국군포로 조형물은 ‘귀환을 밝히는 길’이라는 주제로, 6·25참전 중 포로로 잡혔으나 돌아오지 못한 참전용사의 귀환을 바라는 탑이다.
참배단 좌·우측 벽체에 미귀환 국군포로와 조국을 위해 산화한 영령을 음각으로 형상화하고, 참전용사가 태극기를 들고 있는 중앙부는 미귀환 영웅들의 명예로운 귀환을 희망하는 의미를 담았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