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집단행동 불참 '다른 생각' 의대생들 "폭력적 강요 중단하라"

, 이슈팀

입력 : 2024-03-23 17:15:00 수정 : 2024-03-23 20:36:07

인쇄 메일 url 공유 - +

다생의, SNS 계정에 긴급 성명 게시
“일부 학교, 복귀 희망 학생 대상으로
전 학년 대상 대면 사과·소명 요구” 주장

정부의 의대 입학정원 증원 정책에 반대하는 집단행동에 참여하지 않는 의대생들이 “전체주의적인 조리돌림과 폭력적 강요를 중단하라”며 일각에서 벌어지는 ‘반역자 색출’ 등을 멈춰달라고 요구했다. 

 

‘다른 생각을 가진 의대생·전공의(다생의)’는 23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계정에 ‘의대협(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과 각 학교에 요구합니다’라는 제목의 긴급 성명을 올렸다.

지난 22일 대구의 한 의과대학 강의실이 의대 증원 정책에 반발하는 의대생들의 동맹휴학으로 텅 비어 있다. 뉴스1

다생의는 “일부 학교에서 복귀를 희망하거나 수업에 참여한 (의대) 학생들을 대상으로 전 학년 대상 대면 사과 및 소명을 요구하고 있다”며 “이는 민주주의 사회에서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각 개인의 권리를 심대하게 침해할 뿐만 아니라 단체행동에 동참할 것을 협박하는 것과 다르지 않다”고 규탄했다.

 

다생의는 각 의대 비상대책위원회가 기명투표를 멈추고 무기명투표 원칙을 도입하라고도 촉구했다. 이 단체는 “의대 사회에서는 의료정책에 대한 건설적인 토론의 장은 사라지고, 증원 반대를 위한 강경행동에 동참하지 않는 구성원을 ‘반역자’로 여기며 색출을 요구하는 분위기만이 압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기명투표를 포함해 불참자에게 개인 연락을 돌리는 등의 전체주의적 관행이 바로잡히지 않는 한 지금의 휴학은 ‘자율’에 의한 것이라 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다생의는 의대협을 향해선 “지난 2월18일 ‘동맹휴학’ 결정 이전에 이뤄진 전체 학생 대상 설문 결과를 공개하라”고 요구했다. 당시 설문에 의대 증원, 필수의료 패키지 정책에 대한 의견과 동맹휴학 참여 의사를 묻는 질문이 포함돼 있었는데, 의대협이 해당 설문 결과를 공개하지 않고 있다는 것이 다생의의 주장이다. 이 단체는 “학생들은 동료들이 어떠한 의견을 갖고 있는지 알 권리가 있고, 의대협의 동맹휴학 방침에 최소한의 민주적 절차와 근거가 있는지 확인할 권리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외에도 다생의는 각 학교 학생회가 복귀를 원하는 학생들에게 협조하고 이들을 보호할 것과 학생들이 교수진·행정실·다른 직군·언론 등 외부와 접촉하지 못하도록 막는 행위를 멈출 것도 요청했다. 

22일 대구 한 대학병원 접수대 앞에 의료진 부족으로 진료가 지연된다는 내용의 안내문이 붙어 있다. 연합뉴스

다생의는 의대생들의 동맹휴학과 전공의들의 단체 행동에 동의하지 않는 의대생·전공의 모임으로, SNS 계정을 통해 같은 생각을 가진 학생·전공의들의 고민과 목소리를 모으고 있다.

 

한편 교육부에 따르면 전국 40개 의대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지난 21일 하루 동안 ‘유효 휴학 신청’ 건수는 8개교, 361명으로 집계됐다. 이에 따라 유효 휴학 신청 건수는 누적 8951명이 됐다. 지난해 4월 기준 전국 의대 재학생(1만8793명)의 47.6% 수준이다. 유효 휴학 신청은 학부모 동의, 학과장 서명 등 학칙에 따른 절차를 지켜 제출된 휴학계를 말한다.


이강진 기자 ji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김다미 '완벽한 비율'
  • 김다미 '완벽한 비율'
  • 조보아 '반가운 손인사'
  • 트리플에스 김유연 '심쿵'
  • 트리플에스 윤서연 '청순 매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