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물가가 오르고 지방재정이 악화한 가운데 지역에 따라 초등학교 급식 예산에도 차이가 큰 것으로 확인됐다.
18일 국회 교육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안민석 의원이 공개한 ‘2023∼2024년 전국 교육청 초등학교 급식 식품비 단가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기준 초등학교 식품비 평균 단가는 3664원으로 전년(3451원)보다 213원(6%) 올랐다.

식품비 단가는 지역에 따라 차이가 났다. 가장 높은 지역은 서울(4098원)로, 전년(3799원)보다 299원 오르며 17개 시·도 중 유일하게 4000원이 넘었다. 이어 ▲경북(3960원) ▲세종(3881원) ▲경기(3856원) ▲제주(3710원) ▲전남(3694원) ▲충북(3683원) ▲부산(3680원)도 전국 평균보다 단가가 높았다.
반면 전북은 3390원으로 서울보다 708원이나 적었다. 다른 지역들은 모두 전년보다 단가가 올랐지만, 전북은 홀로 전년과 동결된 금액이기도 했다. ▲광주(3410원) ▲대구(3420원) ▲대전(3500원)도 ▲울산(3564원) 등도 상대적으로 단가가 낮은 지역으로 꼽혔다. 이밖에 ▲인천 3600원 ▲강원 3610원 ▲충남 3617원 ▲경남 3618원으로 집계됐다.
대부분의 교육청은 지방재정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학교 급식 지원 예산을 인상하고 있지만, 최근 가파르게 오르는 물가상승률을 따라잡기는 역부족인 상황이다.
안 의원은 “학교 급식은 학생의 건강과 안전을 책임지는 보편적 교육복지 사업으로 국가의 책무”라며 “어린이집, 유치원부터 고교생은 물론 대학생 아침 식사까지는 국가가 책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지역 간 급식 격차는 학교 급식의 질과 학생건강에 직결된 문제여서 교육부와 교육청, 지자체가 각별한 관심을 가지고 지원해야 한다”며 “학교 급식의 질과 안전을 위해서는 학교 급식 종사자의 근무 여건과 급식 시설 개선에도 투자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