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 주민이 통계 작성 이래 최다인 226만여명으로 집계됐다. 외국인 주민은 국내 거주 90일을 초과한 외국인, 귀화자와 그 자녀를 뜻한다. 국내 외국인 유학생은 처음으로 결혼이민자보다 많아졌다.
8일 행정안전부가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자료를 분석해 발표한 ‘2022년 지방자치단체 외국인 주민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11월1일 기준 국내 외국인 주민 수는 225만8248명이다. 2021년보다 12만3679명(5.8%) 늘었다. 관련 통계를 발표하기 시작한 2006년 이후 최대 규모다. 행안부는 코로나19로 인한 외국인 주민 감소세가 멈추고, 가파르게 반등하는 추세로 돌아섰다고 설명했다. 2019년 222만명까지 증가했던 외국인 주민은 2020년부터 조금씩 줄다가 3년 만에 다시 늘었다. 총인구에서 외국인 주민이 차지하는 비중도 4.4%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행안부는 외국인 유학생이 전년 대비 3만2790명(20.9%) 급증한 게 외국인 주민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국내 외국인 유학생 수는 18만9397명으로, 통계 작성 이래 최초로 결혼이민자 수(17만5756명)를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유형별로는 한국 국적을 가지지 않은 자가 175만2346명으로 가장 많았고 한국 국적 취득자(귀화자)가 22만3825명, 국내 출생 외국인 주민 자녀가 28만2077명이었다. 성별 비율은 남성이 51.3%, 여성이 48.7%다.
지역별로는 전국 17개 시·도에서 모두 외국인 주민이 늘었다. 전체 외국인 주민의 59.4%(134만681명)가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 주민이 가장 많은 시·군·구는 경기 안산시(10만1850명), 수원시(6만8633명), 시흥시(6만8482명), 화성시(6만6955명), 부천시(5만5383명) 순으로, 모두 경기도에 속한 기초단체들이다.
외국인 주민이 1만명 또는 인구 대비 5% 이상 거주하는 ‘외국인 주민 집중거주지역’은 총 97곳으로, 전년 대비 11곳 늘었다. 경기에 23곳, 서울에 17곳, 경북·경남에 각 9곳, 충남에 8곳 등이다. 이 통계는 중앙 부처와 지자체 등에서 외국인 주민의 지역사회 정착 관련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안승대 행안부 지방행정국장은 “기존의 취업 이민 중심의 이민·사회통합 정책에서 벗어나 보다 다양한 영역의 사회통합 정책을 통해 외국인 주민이 우리 사회의 주요한 구성원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관계 부처, 지자체와 함께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