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남사읍 ‘시스템반도체 단지’ 구축
원삼면엔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
평택·안성, 소부장 육성·전문 인력 양성
교통 요충지 이천은 ‘반도체파크’ 추진
정부, 산업지역 한데 묶어 선택과 집중
예산 우선 투입·인허가 타임아웃제 시행
사업 기간 줄여 선제적 생산력 확보키로
지자체도 현안 조정 등 적극 협력 계획 하>
전 세계 산업 강국들이 ‘산업의 쌀’인 반도체를 핵심 전략산업으로 육성하기 시작하면서 정부도 글로벌 반도체 패권을 가져오기 위해 분주하다. 이미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반도체 분야’에 경기 용인시 남사·원삼 반도체 클러스터를 중심으로 기흥 농서지구 일반공업지역, 평택 고덕 국제화지구 일반산업단지 등이 선정됐다.
정부는 2042년까지 이 지역에 사상 최대 규모의 반도체 클러스터를 조성할 방침이다. 반도체 특화단지 규모만 1633만㎡로, 잠실올림픽주경기장 220개를 더한 면적이다. 세계 최대 반도체 산업 중심지이자 미래의 반도체 메카로 성장할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의 미래를 살펴봤다.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에 562조원 투자
22일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달 국가첨단전략산업위원회 회의를 열고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반도체 분야에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이 2042년까지 총 562조원을 투자할 경기 용인과 평택, SK실트론과 LG이노텍 등이 4조7000억원을 투자하기로 한 경북 구미 2곳을 선정했다.
정부는 용인·평택을 세계 최대 반도체 클러스터 거점으로 육성하고, 구미를 웨이퍼 등 반도체 공정 핵심 원재료 공급 기지로 키우겠다는 구상이다.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조성으로 메모리반도체 세계 1위를 굳히고, 대만 TSMC가 주도하는 시스템반도체 세계 시장 점유율을 현재 3%에서 10%까지 끌어올린다는 목표다.
세부적으로 용인 이동·남사읍에 ‘첨단 시스템반도체 국가산업단지’와 원삼면에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가 조성된다. 국가산단과 반도체 클러스터와 용인 기흥구에 위치한 삼성전자 미래연구단지가 연계돼 1244만여㎡(약 376만평) 규모의 초대형 반도체 특화단지가 들어서는 것이다.

특히 정부는 국가산단과 클러스터 등 반도체 시설 등과 시너지 효과를 고려했다. 용인 남사읍에는 삼성전자의 첨단 시스템반도체 공장(팹) 5기, 원삼면에는 SK하이닉스의 첨단 메모리반도체 팹 4기, 기흥구에는 삼성전자의 첨단 메모리·시스템 연구개발(R&D)센터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평택시에도 삼성전자 평택캠퍼스를 기반으로 하는 대규모 반도체 클러스터가 조성된다. 삼성전자의 평택캠퍼스 부지는 289만㎡로 총 6개의 반도체 공장이 들어설 예정이다. 현재는 2017년 6월 제1공장(P1), 2020년 8월 제2공장(P2)에 이어 지난해 7월부턴 제3공장(P3)에서 낸드플래시를 생산하는 등 3개의 공장이 가동 중이다.
평택에 위치한 반도체 클러스터는 삼성전자와 연계해 반도체 공정에 필요한 소재·부품·장비(소부장) 산업을 육성한다. 부지 규모는 770만㎡에 달한다. 또 평택에 설립될 카이스트 평택캠퍼스는 삼성전자와 반도체 계약학과 연구 과정을 연계·운영하면서 전문 인력을 양성한다.

평택마이스터고와 국제대가 고등직업교육거점지구사업(HIVE)에 선정된 만큼 기존 인력 재교육 등을 통해 실무 능력을 갖춘 중견·신입 인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한다는 전략이다.
‘소부장 특화단지’ 반도체 분야에는 안성 동신일반산업단지가 지정됐다. 규모는 157만㎡이다. 안성 소부장 특화단지는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라인인 경기 용인과 평택 중심에 자리 잡고 있어 용인과 평택 반도체 클러스터가 원활하게 돌아갈 수 있도록 한다는 구상이다.
특화단지 공모에 신청했으나 고배를 마신 경기 이천시도 경기 남부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와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천은 SK하이닉스를 중심으로 영동고속도로와 중부고속도로가 교차하고, 국도 3호선과 42호선이 지나는 교통 요충지로 수도권 반도체 관련 단지와의 연결성이 좋다. 이천에 위치한 SK하이닉스 외에도 반도체 관련 소부장 기업과 ASML, TEL, AMAT 등 반도체기업 등이 있다.
이천은 반도체파크도 조성해 반도체 전문 산업단지, 특성화 대학, 로봇드론산업 창업센터 등 첨단 전략산업 집적화를 최대 목표로 한다는 계획이다.

◆‘선택과 집중’ 첨단산업 집중 지원
이번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는 지난해 8월 시행된 국가첨단전략 특별법(반도체법)에 따라 처음 지정됐다. 기존에 운영되는 산업 지역을 클러스터의 개념으로 묶어 ‘선택과 집중’ 원칙에 따라 핵심 기반 시설 구축을 우선 지원하고, 정부 R&D 예산도 우선 배정하는 등 한정된 자원을 우선 투입한다는 계획이다.
특화단지에서는 인허가 타임아웃제가 처음 시행된다. 첨단산업위원회의 신속 처리 의결 후 60일이 지나면 해당 인허가가 된 것으로 간주한다. 또 반도체 등 첨단 전략기술 보유 기업의 경우 특화단지 내에서 용적률을 최대 1.4배까지 상향할 수 있다.
이 밖에 정부는 부처와 지방자치단체의 협업을 통해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조성 기간을 가급적 단축한다는 방침이다. 산단 조성을 위한 인허가, 지역 현안 해소 등을 통해 사업기간을 줄인다는 계획이다.

대표적으로 국토부는 용인 반도체 산단의 조기 완공을 위해 그린벨트와 농지 등 입지규제 사전 협의와 예비타당성조사 신속 통과 등을 추진한다. 이렇게 되면 통상 7년 정도의 산단 조성 사업기간을 5년 정도로 단축할 수 있다는 평이다. 일각에선 이르면 2028년에는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를 위한 기반공사가 마무리될 것이라고 보고 있다.
이처럼 정부가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에 속도를 내는 것은 치열해지는 글로벌 반도체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첨단 시스템반도체 클러스터를 조기에 구축해 선제적으로 생산 능력을 확보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지자체도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조성에 적극 동참한다는 방침이다.
경기도는 “전국 최대 규모의 광역 단위 특화단지가 경기도에 지정되면서 명실상부 대한민국 반도체 산업의 중심임을 입증했다”며 “메모리·비메모리·팹리스·소부장을 연계해 경기 남부 지역을 아우르는 ‘세계 최대 규모의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구축의 토대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기반 시설 설치 시 기초지자체 간 현안 조정 역할에 최선을 다하고, 인력 양성을 적극 지원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이 밖에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가 조성되면 하루 평균 4만명 이상의 인력이 출퇴근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정부와 지자체 등은 인접 도로망 확보 등 정교한 교통 계획 수립에 적극적으로 협조하겠다고 밝혔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