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자원학회 보고서
온대기후→아열대 변화 과도기
年강수량 10년 단위 16.3㎜씩 ↑
서부·해안쪽 호우 피해 커질 듯
“이번 극한호우가 연례화될 수도”
탄소배출 저감 대책 마련 시급
폭우와 폭염, 가뭄 등 전 지구적인 이상 기상 현상이 빈번하게 관측되고 있는 가운데 이 같은 기후위기에 대한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을 경우 향후 50년래 끔찍한 대가를 치를 것이라는 예측이 나왔다. 이번 여름철 집중호우 피해처럼 2070년쯤엔 돌이킬 수 없는 자연재해에 직면할 것이라는 게 국내 전문 학회 경고이다.
17일 한국수자원학회의 ‘가능 최대 강수량(PMP) 산정절차 재평가 및 보완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지난 100년간 강수량 변화는 매우 우려되는 수준이다. PMP는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의 줄임말로, 주어진 지속 기간 특정 유역에 연중 물리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이론적 최대강수량(댐 설계 기준)을 뜻한다.

수자원학회는 2020년 12월 내놓은 보고서에서 최근 한반도에서 본격화하고 있는 이상 기후·기상이변 요소(기온·강수·강우패턴·공간변동성 등)를 고려해 향후 20년·50년·100년·200년 전망치를 내놨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00년간 한반도 연강수량은 10년 단위로 16.3㎜가량 증가했다. 같은 기간 강우 강도는 일평균 0.18㎜씩 증가하는 등 한반도가 온대 기후에서 아열대로 바뀌면서 강수 특성이 크게 바뀌고 있다.
연구진은 1973∼2015년 기상청 산하 울릉도(경북)·제천(충북) 등 관측소 50개소를 선정·분석한 결과 강릉, 대구, 부산 등 동부 지점 변화율이 인천, 목포(전남) 등 서부 지점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기후변화에 따른 국지적 기상이변이 한반도 동부보다는 서부에서, 내륙보다는 해안에서 집중호우 등의 피해가 더 클 것이라는 예측이다.
연구진에 따르면 강우량 빈도를 20년 미만 빈도 기준으로 비교해보면 이들 7개 지점(서울·강릉·인천·대구·전주·부산·목포)에서 온도가 1도 상승했을 때 강우량 증가율이 더 높을 것이라는 전망치가 나왔다. 또 2050년까지 온도 상승이 2도를 초과하지 않는다고 가정할 경우 강릉지점 20년 빈도 확률강우량은 500㎜, 50년 빈도 1040㎜, 100년 빈도 1284㎜, 200년 빈도 1489㎜에 달할 것으로 예측됐다.

연구진은 “20년 이상 재현 기간에서 온도 상승에 따른 극치강우량(주어진 기간 동안 특정 지역에 내릴 수 있는 비의 양의 통계·물리적 상한) 변화율이 전반적으로 크게 증가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기상청에 따르면 이번에 한반도를 강타한 극한호우(누적 강수량이 1시간 50㎜ 이상, 3시간 90㎜ 이상)는 2013년 48건에서 2017년 88건, 2020년 117건, 지난해 108건으로 해마다 8.5%씩 늘었다.
미래 극한강수량(100년에 한 번 내릴 만한 가장 큰 비)은 탄소배출에 따른 기후위기와 관련이 깊다. 한국환경연구원(KEI)의 올해 4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적응 및 감축 중장기 연구방향’ 보고서에 따르면 탄소 저감 노력이 없는 시나리오에서 원미래(2080∼2099년)의 연중 일 최대 강수량은 182.9㎜에 달할 전망이다.
근미래(2020∼2049년)는 146.2㎜, 중미래(2050∼2079년)는 165.9㎜일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극한호우가 특정 연도의 기상이변이 아닌 지속 반복될 수 있는 기후위기의 방증이라는 의미다. KEI는 다만 탄소 배출 저감 노력이 더해진다면 근미래 140.4㎜, 중미래 150.6㎜, 원미래 145.4㎜로 다소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