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한국에살며] 가면을 쓰고 사는 사람들

관련이슈 한국에 살며 , 오피니언 최신

입력 : 2023-06-29 02:14:37 수정 : 2023-09-21 09:16:48

인쇄 메일 url 공유 - +

팬데믹(감염병 세계적 대유행) 시기 누군가를 만날 때 서로 나누는 첫마디는 “얼마나 지나야 예전처럼 마스크를 안 쓰고 지낼 수 있을까? 답답해 죽겠다”였다. 마스크를 벗고 일상으로 돌아갈 날을 학수고대했다. 그리고 마침내 지난 3월 대중시설 마스크 착용이 해제됐다. 그토록 벗어던지고 싶던 마스크였지만 내 주변에는 여전히 마스크를 쓰고 다니는 사람들이 더 많다.

‘가면 증후군’이라는 말이 있다. 스스로를 보호하려는 방어기제의 일종이자 그 방어 속에 본인의 진짜 실력이나 모습을 숨기려고 하는 마음 상태를 말한다. 내 실력이 낮아서 타인의 기대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무시를 당할까 봐, 성취를 하지 못하면 낙오될까 봐 등등의 이유로 타인의 시선과 평가에 늘 신경을 쓴다.

배정순 이중언어강사

어찌 보면 마스크는 한 인간의 내면을 감춰 주는 또 다른 가면의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닌가 싶다. 요즘 텔레비전 속 범죄자들이 모두 마스크를 쓰고 얼굴을 가리는 것처럼 말이다. 이제는 평범한 사람들도 일상 속에서 마스크 뒤에 자기의 표정과 감정을 숨긴다. 적극적인 척, 대범한 척, 상처를 받지 않은 척, 괜찮은 척, 좋은 척 가장하는 속마음에는 그 누구도 이해할 수 없을 정도로 지쳐 버린 초라한 자아가 숨어 있다. 가면을 벗어던지고 행복한 본연의 모습으로 돌아갈 수 있는 용기가 있어야 한다.

‘미소 우울증’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스트레스를 받는데도 억지 미소를 지으며 감정을 억누르다 보면 나중에는 자신의 감정조차 알아차리지 못하는 지경에 이를 수 있다. 사람들과 관계 속에서 피로감을 느끼고 싶지 않다면 주변 사람들이 실망해도 괜찮다는 용기부터 내야 한다. 자신만의 경계 의식을 구축하고 다른 사람의 무리한 요구에는 ‘아니요’라고 당당하게 말할 수 있어야 한다. 너무 다른 사람의 기분에 맞추다 보면 자신을 지킬 수 없다. ‘나는 이만하면 괜찮다’라는 믿음이 있어야 한다. ‘나는 완벽하다’라는 의미가 아니라 불완전한 자신도 포용하고 ‘나에게 부족함이 있음에도 괜찮다’는 자기 존재 자체 즉 정체성에 대한 확신이다. 이런 자기 정체성을 가지고 있다면 우리는 힘겨운 상황에서도 버텨 낼 수 있고 조금씩 성장할 수 있는 것이다.

‘꼭 이래야 돼’라는 강박에서 벗어나 모든 일에 유연하게 대처해야 한다. ‘이만하면 나도 괜찮은 사람이야’라고 스스로를 위로하고 다독이며 단단한 자아를 만들어야 중심을 잡고 흔들리지 않을 수 있다. 마음의 빗장을 풀고 세상과 만나고 ‘힘들면 힘들다’고 도움이 필요하면 ‘도와 달라’고 말해야 한다.

옆에 있는 사람에게 따뜻한 미소를 보내 주고 힘들 때 괜찮다고 말해 주는 사소한 것부터 시작해 자기 생각을 솔직히 말해도 이상하지 않고 수용이 되는 사회 분위기 조성이 필요하다고 본다. 주변 사람들과 깊이 연결되어 있고 어려운 일이 있으면 도움을 받을 수 있다는 믿음이 있으면 답답한 가면을 벗어 버리고 좀 더 편한 본연의 모습으로 살 수 있지 않을까 싶다.


배정순 이중언어강사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김다미 '완벽한 비율'
  • 김다미 '완벽한 비율'
  • 조보아 '반가운 손인사'
  • 트리플에스 김유연 '심쿵'
  • 트리플에스 윤서연 '청순 매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