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최대 관광대국인 프랑스가 관광객이 과도하게 몰려 사회·환경문제가 발생하는 ‘오버투어리즘(과잉관광)’ 관리에 본격적으로 나섰다고 1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프랑스 정부가 이날 발표한 계획은 주요 관광지에 관광객 흐름을 관리할 수 있는 국가 관리 관측소를 만들고, 현지인들이 어느 수준의 관광객을 받아들일 수 있는지 측정하는 등의 내용이 포함됐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활용하는 인플루언서와 관광객들의 인식을 제고하기 위한 캠페인 계획 등도 담겼다. 규제보다는 현상 파악과 인식개선 등에 주력하는 정책으로 사실상 오버투어리즘 관리에 첫 걸음을 뗀 수준이다.
매년 9000만명 가까운 관광객이 찾는 프랑스는 오버투어리즘으로 가장 많은 홍역을 앓고 있는 국가로 손꼽힌다. 이에 따라 루브르박물관이 모나리자의 관람시간을 통제하는 등 주요 관광지가 자체적으로 관광객 흐름을 관리해왔다. 다만, 정부 차원의 대응은 비교적 느슨했다. 프랑스관광청이 지난 13일 관광 분야 기업들이 모인 자리에서 자국이 오버투어리즘으로 비판받는 곳이 됐다는 것을 뒤늦게 깨달았다고 인정하기도 했다.
일단 프랑스 정부는 당분간 규제정책보다는 각 지자체와 관광지들이 자체적으로 관광객 흐름을 관리할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는 입장이다. 프랑스 관광부 장관인 올리비아 그레구아르는 지난 18일 르피가로와 인터뷰에서 “모든 것을 위에서부터 규제하는 것은 국가의 권한이 아니다”라면서 “그러나, 지역 및 관광지와 협력하여 정보를 제공하고 지방 당국의 유동 관리 조치를 지원하는 방법을 마련하는 것은 국가의 몫”이라며 향후 정책 방향을 설명했다.
다만, 이미 과도한 관광객으로 프랑스 각 지역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다가 영국, 이탈리아, 네덜란드 등 이웃 국가들이 관광세 도입 등 규제를 본격화하고 있기에 프랑스도 이 흐름을 따라갈 가능성도 충분하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