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소년 자살률 증가세가 심상치 않다. 온라인에 폭증한 자살 유해 정보는 물론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심심찮게 이뤄지는 사실상의 자살 방조가 청소년을 자극하면서 극단적 선택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지난달 16일 서울 강남에서 발생한 10대 학생의 SNS 자살 생중계 사건을 계기로 청소년 모방 사례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자살 관련 국내 통계에서 확인되는 가장 충격적인 사실은 청소년 자살이 갈수록 늘고 있다는 점이다.
통계청이 지난해 말 발간한 '아동·청소년 삶의 질 보고서 2022'에 따르면 아동·청소년(만 0∼17세)의 자살률은 2021년 10만명당 2.7명으로 증가, 2000년대 들어 최고치를 기록했다.
10만명당 1.2명이었던 2000년의 갑절 이상으로 늘어난 수치다. 중학생에 해당하는 12∼14세는 2000년 10만명당 1.1명에서 2021년 5.0명으로 급증했다. 고교생 나이인 15∼17세는 같은 기간 10만명당 5.6명에서 9.5명이 됐다.
추이를 보면 아동·청소년 전부와 12∼14세, 15∼17세의 경우 모두 2009년까지 오름세를 보이다 내림세로 돌아서는데 2015∼2016년을 기점으로 다시 증가세로 바뀐다.
청소년의 자살률 증가는 전체 인구의 자살률이 줄어드는 점과 비교할 때 더욱 눈에 띈다. 한국의 자살률은 여전히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최고 수준이지만 지난 10년간 소폭 등락을 거듭하며 전반적으로는 내림세였다.
2011년 한국의 인구 10만명당 자살률은 31.7명으로 최고치였다가 2017년 24.3명까지 떨어지고 이후 등락하면서 2021년 26명 수준이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