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정 여부는 아직 결정된 바 없어

육군이 2022년에 입대한 군 장병 4900여명에게 ‘2023년 군번’을 부여해 논란이 되고 있다. 후임에게 무시당했다는 22군번 장병의 ‘웃지 못할 후일담’도 전해진다.
육군이 군번을 잘못 부여한 이유는 행정 착오 때문이다. 육군은 해당 사실을 인지하면서도 처음에는 “장병들에게 양해를 구했다”며 군번 정정에 적극 나서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통상 군번을 잘못 부여하면 정정 군번을 재발급하지만 이번에는 대규모 인원으로 다소 혼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본지와의 통화에서 육군 관계자는 “군번이 잘못 발급된 건 행정 착오 때문이 맞고, 현재 정정을 원하는 장병의 비율이 얼마나 되는지 확인 중에 있다”고 밝혔다.
또한, “지난달 말부터 군번 변경 시 불가피하게 생길 수 있는 문제점을 장병들에게 개별 설명하면서 군번 유지에 대해 양해를 구하는 중”이라고 말했다.
군번 정정 관련해 정해진 사항은 아직 없다. 정정을 원하는 장병의 비율이 얼마나 되는지 확인하고 그 결과에 따라 결정하겠다는 것이다.
군번이 늦어 생길 수 있는 불이익 관련해서는 “예비군 소집은 전역 일자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군번과는 전연 관계없고, 다른 부분에 있어서도 군번 때문에 불이익을 받을 소지는 있어 보이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현재 훈련소에서 지내는 것 또한 거의 같은 동기끼리 지내기 때문에 크게 문제 되지 않는다고 부연했다.
금일(24일) 육군본부 등에 따르면 2022년 11월부터 12월 사이 논산 육군훈련소에 입소한 장병 4900여명의 군번 입영 연도가 ‘2023년’으로 잘못 부여됐다.
훈련소에서 군번을 잘못 부여받은 일부 장병은 자대 배치 후 후임 취급을 받는 등의 피해를 호소했다. 군대라는 조직 특성상 군번이 ‘직급’인 곳이기에 극소수는 진짜 피해를 보고 있는 건 아닌지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는 상황.
육군이 피해 장병들에게 보낸 안내 서신에서 “육군은 군번 착오 부여에 대해 정정하려고 했으나 인사명령, 급여, 대학 학점 인증 등 대내외적으로 연결된 전산 체계는 물론 인식표, 부대 행정업무체계 등 일반 기록물까지 정정해야 한다”라며 정정의 어려움을 호소했다.
그러나 장병들의 입장은 다르다. 자대에서의 생활은 차치하고서라도 전역 후 국적금 또는 다른 보조금 등 군번 오류로 인해 피해를 받을 가능성도 있어서다.
이같은 우려에 육군은 3월 말부터 장병들에게 ‘개별 안내’를 하면서 설득에 나섰다. 육군이 4900여명의 장병을 얼마나 설득하는지에 따라 대규모 군번 정정의 당락이 결정될 전망이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