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부산의 미래 20년 좌우할 ‘도시공간계획’ 수립

입력 : 2023-03-15 17:00:18 수정 : 2023-03-15 17:00:17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부산시가 도시공간구조 재편을 통해 부산의 미래 20년을 좌우할 도시 공간계획을 수립했다. 디지털 대전환의 새로운 패러다임과 저성장·저출산·고령화 시대로 접어드는 사회변화 및 4차 산업혁명·기후변화·감염병과 같은 급변하는 환경에 체계적이고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한 발전전략을 제시한 것으로 풀이된다.

 

부산시는 스마트 15분 도시·글로벌 허브도시·청년활력 미래도시·탄소중립 건강도시를 4대 핵심목표로 ‘2040년 부산도시기본계획’을 최종 확정·공고했다고 15일 밝혔다.

도시공간구조 설정도. 부산시 제공

구체적인 도시공간구조 재편은 기존 도심-부도심으로 구성된 위계별 중심지체계를 기능별 특화형 10개 코어(중심부)의 다핵구조로 변경하고, 중심지별 기능을 고도화한다. 이를 위해 중심지 육성 방향과 추진전략을 정하고, 용도지역 조정과 밀도 상향 및 지구단위계획 가이드라인 등 적극적인 도시계획 지원을 추진할 계획이다.

 

물의 도시 부산의 해안과 하천에 대해서도 ‘수변 특화 기본계획’을 통해 수변 지역 토지이용을 활성화하고, 수변 지역 공공성을 확보하는 등 시민들의 생활양식을 반영한 수변 중심도시 공간구조로 전환을 도모한다.

 

또 도시철도역 130개 역세권을 중심지와 연계해 역세권 유형별 용도지역 조정 기준 및 공공기여 방안을 마련한다. 역세권 주변 생활권 분석을 통해 지역에 필요한 생활 사회간접자본(SOC) 시설을 공공기여 시설로 제공해 시민들의 일상생활이 더욱 편리해질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마지막으로 도심 내 노후 공업지역을 부산 전략산업 및 선도 제조업 집적지역과 미래 신산업·도시 서비스·복합기능수용지역으로 재편하기 위한 ‘공업지역 활성화 계획’도 추진한다.

 

시는 또 미래경쟁력 확보와 바람직한 부산의 발전 방향을 담은 4대 핵심목표와 발전전략을 제시하고, 도시 미래상 실현을 위한 도시공간구조 및 지역 균형발전을 위한 중생활권 개념을 도입했다. 기존 ‘대생활권’에다 강서·동래·기장·해운대·강동·원도심권 등 6개 ‘중생활권’을 추가로 설정해 생활권별 발전 방향과 소생활권 설정 가이드라인을 제시함으로써 부산형 15분 도시 실현과 다핵도시로의 도시공간구조 정착을 위한 토대를 마련했다.

 

특히 구체적인 용지별 수요를 구분해 △주거용지 149.882㎢ △상업용지 28.682㎢ △공업용지 65.793㎢ △시가화 예정용지 52.978㎢ 등 생활기반시설 공급과 연계한 토지이용계획을 수립했다.

 

이 밖에 급격한 인구 감소 현황을 반영해 2040년까지 350만 명의 계획인구를 설정하고, 도시공원 1인당 21.5㎡ 확충·마을건강센터 250개소 확장·신재생에너지 전력 자립률 40% 상향·2018년 대비 온실가스 감축 비율 73.5% 감소 등 지속가능한 도시 성장과 발전을 위한 계획지표도 담았다.


부산=오성택 기자 fivestar@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아이유, 수줍은 미소
  • 아이유, 수줍은 미소
  • 빌리 츠키 '너무 사랑스러워'
  • 빌리 하루나 '성숙한 막내'
  • 차주영 '매력적인 눈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