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 강아지가 가끔 늑대처럼 “아우우~”하며 길게 우는 ‘하울링’(howling)을 하기도 하는데 왜 그런지 궁금증이 들 때가 있다.
그런데 이러한 반려견들은 늑대와 유전적으로 가까운 종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또한 개들이 하울링을 하는 의미는 “나는 겁이 나니까 더는 가까이 오지 마”라는 의미일 수도 있다고 연구팀은 덧붙였다.
헝가리 외트뵈시 로란드대(ELTE) 동물행동학과 타마스 파라고 박사 연구팀은 반려견의 하울링과 관련한 의문을 풀기 위해 개들에게 늑대의 하울링 소리를 들려준 결과, 이 같은 사실을 발견했다.
연구진에 따르면 하울링은 늑대의 전유물처럼 돼 있지만, 갯과 동물 사이에서 자신의 영역과 위치를 알리는 원거리 통신 수단으로 널리 퍼져있다.
인간이 가축화한 개 중에서는 ‘썰매견’처럼 초인종 소리나 음악에도 하울링으로 반응할 정도로 예민한 종이 있는가 하면, 하울링을 할 줄은 알지만 단 한 번도 하지 않고 생을 마감하는 종도 있는 등 다양하다고 한다.

ELTE 연구팀은 실험실에서 68개 순혈종의 개들에게 늑대의 하울링을 녹음한 소리를 들려주고 반응을 살폈다.
그 결과, 늑대와 유전적으로 가까운 ‘고대 종’(ancient breed)일수록 녹음 소리에 하울링으로 답하는 경향이 강했던 반면, 늑대와 유전적으로 먼 ‘현대 종’(modern breed)은 하울링 대신 짖는 것으로 반응했다.
연구팀은 이와 관련해 “갯과 동물 모든 종의 레퍼토리에 하울링이 포함돼 있지만, 변화한 사회 환경에서 기능을 잃어 현대 종은 적절한 상황에서 이를 이용하지 못한다”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늑대와 유전적으로 가까운 고대 종일수록 하울링에 내포된 정보를 현대 종보다 더 잘 파악할 수 있어 자신들의 영역 침입에 스트레스를 받고 이를 피하려고 늑대들처럼 하울링으로 반응한 것으로 추정했다.
또한 하울링과 관련된 유전자적 효과가 5세 이상의 개에서만 나타나 개체의 경험이나 나이 관련 영향도 있을 수 있는 것으로 연구팀은 제시했다.
파라고 박사는 “앞선 연구에서 이미 제시한 것처럼 나이 든 개가 더 많은 두려움을 갖고 있기 때문일 수도 있다”라며 “이는 고도의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보이는 하울링이 두려움을 나타내는 것이라는 우리의 가설과 일맥상통하는 것이지만 추가적인 연구가 더 필요하다”라고 했다.

이밖에도 연구팀은 중성화 수술을 한 암컷과 그렇지 않은 암컷 간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수컷 사이에서는 중성화 수술로 남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이 부족한 개체가 하울링을 더 하는 것을 확인했다.
이런 결과는 중성화 수술을 한 수컷이 겁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난 것과도 같은 맥락에 있는 것으로 제시됐다.
이와 관련해 논문 제1저자 파니 레호츠키는 “개의 하울링은 ‘나는 겁이 나니 더는 가까이 오지 마’라는 의미일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인간이 개를 곁에 두고 품종을 개량하면서 개의 목소리 레퍼토리를 근본적으로 바꾸고, 하울링에 대한 인지와 생성도 변화시켰다는 가설을 뒷받침하는 것으로, 인간과 반려견 간 중요한 관계의 역사와 영향에 대한 이해에 한 걸음 더 다가서게 해주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의사소통 생물학’(Communications Biology)에 발표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