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탁현민 전 청와대 의전비서관은 2017년 당시 문재인 대통령의 방중 과정에서 불거졌던 이른바 ‘혼밥’ 논란에 대해 “현지 주민들과의 ‘정서적 유대감’ 강조를 위한 일종의 프로그램이었다”고 20일 강조했다.
탁 전 비서관은 이날 오전 KBS 라디오 ‘최경영의 최강시사’에 출연해 “먹을 사람이 없어서 혼자 밥을 먹은 게 아니다”라며 이 같이 말했다. 해당 시기에 자신이 의전비서관이 아니었다는 점을 먼저 언급한 그는 “제가 알고 있는 것으로 말씀을 드리면, 그때가 상당히 오랜만에 중국 방문이었고, 한류 문제를 비롯해 중국과 풀어야 할 것들이 되게 많았다”며 “그래서 우리가 상당히 공을 많이 들였던 순방으로 기억한다”고 떠올렸다.
탁 전 비서관의 이러한 발언은 청와대 시절 이야기를 담은 책 ‘미스터 프레지던트’를 방송에서 얘기하는 도중 ‘문재인 정부 때 잘못했다 뭐 이런 건 없나’라는 진행자 질문에 답하는 과정에서 나왔다.
앞서 청와대는 2017년 12월, 문 대통령의 중국 국빈방문을 높게 평가하면서, 방중 기간 중국 측 관계자 없이 문 대통령이 외부 식당에서 식사한 것을 두고 불거진 ‘혼밥’ 논란에 “트럼프 미국 대통령도 한국 와서 우리와 한 번 밥 먹었고, 문 대통령이 미국 갔을 때도 마찬가지였다”며 “그렇게 ‘혼밥’으로 프레임을 잡는 게 이해가 안 된다”고 강하게 불만을 드러낸 바 있다. 청와대는 그러면서 “(문 대통령이) 중국 국민 속으로 다가가는 인상을 남기는 것도 중요해 기획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당시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은 수석비서관·보좌관회의에서 ‘혼밥 보도’를 두고 “대단히 잘못된 것”이라며, “대통령께서는 13억의 중국 국민들과 함께 조찬을 하신 것”이라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었다.

탁 전 비서관은 라디오에서 “조식 먹으러 가서 중국 사람들의 보통 식사와 같은 자리에서 식사하시는 모습 때문에 ‘혼밥을 했네’ 이런 이야기가 나왔던 것”이라며 “오바마 대통령이 베트남에 가서 쌀국수 먹는 거랑 비슷하다”고 강조했다. 이는 2016년 베트남을 방문한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현지의 한 식당에서 미국의 유명 셰프와 함께 쌀국수 먹은 일을 끌어온 것으로 보인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