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네팔서 한인 2명 등 72명 탄 여객기 추락

입력 : 2023-01-15 20:59:36 수정 : 2023-01-15 22:54:03

인쇄 메일 url 공유 - +

카트만두서 포카라 이동 중 참사
네팔 당국 “최소 68명 사망” 밝혀

외교부, 현장대책본부 즉각 가동
네팔 30년간 연 1회꼴 추락 사고

네팔 카트만두에서 72명을 태우고 인근 휴양도시 포카라로 향하던 여객기가 추락했다고 15일(현지시간) 외신들이 보도했다. 탑승자 중에는 한국인 승객 2명도 포함됐다.

 

미국 워싱턴포스트(WP) 등 외신에 따르면 이날 오전 네팔 수도 카트만두에서 이륙한 네팔 예티항공 소속 ATR72기가 25분 거리에 있는 포카라로 향하던 중 추락했다. 사고 여객기에는 승객 68명과 승무원 4명이 탑승 중이었다.

 

참혹한 현장 15일(현지시간) 예티항공 소속 ATR72 여객기가 추락한 현장에서 구조대가 인명 구조와 사고기 잔해 수습 작업 등을 하고 있다. 카트만두에서 인근 휴양도시 포카라로 향하던 이 여객기에는 승객과 승무원 등 총 72명이 타고 있었다. 포카라=EPA연합뉴스

네팔 당국은 이번 사고로 최소 68명이 사망했다고 이날 오후 발표했다. 최근 30년동안 네팔에서 발생한 최대 희생자 발생 항공 사고다. 앞서 일부 인도 매체는 탑승자 72명 전원이 사망했다고 전하기도 했다.

 

승객 중 외국인은 15명으로 2명의 한국인과 인도인 5명, 러시아인 4명, 아르헨티나인 1명, 호주인 1명, 프랑스인 1명, 아일랜드인 1명 등이다. 외교부도 추락한 여객기 탑승자에 한국인 2명이 포함된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외교부는 이도훈 2차관을 본부장으로 하는 ‘재외국민대책본부’를 꾸리고 박종석 주네팔 대사 등이 화상으로 참여한 가운데 대책회의를 열었다. 사고 현장에는 우리 교민인 영사 협력원이 급파됐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탑승자 가족에게 현지 상황 등을 충실하게 설명하고, 필요한 영사 조력 등을 최대한 지원하라”고 외교부에 지시했다.

 

예티항공 대변인은 사고 여객기가 포카라공항 착륙 직전 추락했다고 설명했다. 비행기가 착륙 시도 중 구공항과 신공항 사이 세티강 강둑에 충돌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구공항과 3㎞ 떨어진 곳에 만들어진 포카라국제공항은 이번 달 들어 운영을 시작했다.

 

네팔은 세계적으로 항공사고가 빈번한 지역으로 꼽힌다. 세계 최고봉인 에베레스트와 안나푸르나 등 고봉을 보유해 외국인 등산객 수요로 항공 산업이 호황을 누리는 만큼 사고도 많다. 최근 30년간 비행기 추락 사고가 연평균 1회인 30건에 달한다. 지난해 5월에는 타라에어 추락사고로 네팔인 13명, 인도인 4명, 독일인 2명 등 탑승자 22명이 전원 사망했다.

 

15일(현지시간) 네팔 포카라에서 현지인들이 여객기 잔해를 지켜보고 있다. AP뉴시스

네팔 항공 관련 인력의 숙련도가 낮은 것도 문제로 지적된다. 영국 가디언에 따르면 네팔 여객기는 조종사의 훈련과 정비가 충분치 않아 안전하지 않다는 인식이 퍼지면서 유럽연합(EU) 영공 진입이 전면 금지되기도 했다. 이 매체는 “네팔의 활주로는 세계에서 가장 까다롭기로 유명하며, 악천후가 빈번한 반면 정확한 일기예보 시스템도 없어 숙련된 조종사도 이착륙이 쉽지 않다”고 전했다.

 

더욱이 이번 사고가 발생한 포카라는 수도 카트만두에서 북서쪽으로 140㎞가량 떨어진 곳에 있는 휴양도시로, 평소 현지 항공 관계자들 사이에서 이착륙이 까다로운 곳으로 악명이 높다. 포카라의 위치가 안나푸르나 등 8000m급 히말라야 고봉에서 불과 수십㎞밖에 떨어지지 않은 고지대라 이착륙 때 여러 높은 산 사이를 곡예하듯 비행해야 하기 때문이다.

 

구형 항공기 사용도 문제로 지적됐다. 네팔 항공 당국 관계자는 현지 매체에 “예티항공은 대부분 구형 비행기를 사용하고 있다”며 이 문제를 조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서필웅 기자 seoseo@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전지현 '눈부신 등장'
  • 전지현 '눈부신 등장'
  • 츄 '상큼 하트'
  • 강지영 '우아한 미소'
  • 이나영 ‘수줍은 볼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