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윤석열 대통령의 연말 특별사면 대상으로 알려진 김경수 전 경남지사의 정치복귀 가능성이 솔솔 나오고 있다. 이명박 전 대통령의 특별사면을 위한 들러리라는 일각의 지적에 김 전 지사가 가석방을 원치 않는다고 선언하면서다. 특히 야당은 김 전 지사의 사면 뿐만 아니라 피선거권을 보장하는 복권을 주장하면서 이같은 주장이 힘이 실리고 있다.

고민정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이 15일 연말 특별사면 대상에 오르내리는 김경수 전 경남지사가 정치적으로 복귀를 할 가능성에 대해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고 본다”고 말했다. 김 전 지사의 역할론을 시사한 것이다.
고 최고위원은 이날 한 라디오 인터뷰에서 여야 정치권이 김 전 지사의 정치적 복귀를 눈여겨보고 있냐는 질문에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고 본다. 그러나 여당의 그런 발언들이 오히려 김 전 지사의 정치적 무게감과 근육을 더 키우고 있는 셈”이라고 말했다. 앞서 국민의힘은 전날 드루킹 댓글조작 사건으로 수감 중인 김경수 전 경남지사가 이명박 전 대통령 들러리가 되지 않겠다며 가석방을 원치 않는다는 입장을 밝힌 데 대해 “양심수 코스프레”라며 비판했다.
고 최고위원은 만기 출소가 약 넉 달밖에 남지 않은 김 전지사의 가석방은 의미가 없다는 취지로 답했다. 그러면서 “이제 4개월밖에 남지 않은 김 지사를 복권도 시키지 않고 사면시키겠다는 건 그야말로 구색 맞추기밖에 안 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정부는 MB의 특별사면에 대한 여론과 야당의 반발을 고려해 드루킹 사건으로 구속된 김 전 지사의 카드도 함께 꺼내 들었다. 여야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이 전 대통령과 함께 김 전 지사의 사면을 하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형이 15년 이상이 남은 이 전 대통령과 내년 5월이면 만기 출소하는 김 전 지사를 같은 선에서 놓고 특별사면을 단행하는 데 대해 민주당은 곱지 않은 시선을 보내고 있다. 더욱이 정부는 보수 지지층의 반대 등을 고려해 김 전 지사의 경우 사면을 하되 복권은 시키지 않는 쪽으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최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를 비롯해 노웅래 의원 등 야권 전반에 대한 검찰 수사가 속도를 내고 있는 상황에서, 김 전 지사를 비롯한 대안세력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