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교육수준 높아지고 사회진출 활발…가부장제 국가 여전히 많아”

전 세계적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분노를 느끼는 비율이 10년 전 보다 높아졌으며, 이러한 경향은 해가 갈수록 심화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이는 여성의 교육 수준이 높아지고 사회진출이 활발해지고 있지만, 가부장적 문화가 여전한 국가나 지역이 많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7일(현지시간) 영국 BBC 방송에 따르면 미국 여론조사기관 갤럽은 2012년부터 2021년까지 매년 150여 개국 남녀 12만명씩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를 취합해 분석한 결과, 이 같은 현상을 확인했다.
갤럽은 매년 한 차례 전화 혹은 대면 인터뷰를 통해 조사 대상자가 전날 어떤 감정을 가장 많이 느꼈는지 물었다.
특히 여성이 남성보다 분노와 슬픔, 스트레스, 걱정 등 부정적 감정을 더 자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에 따르면 2012년 갤럽 조사에서는 남녀 응답자 모두 ‘분노’를 가장 많이 느꼈다고 답한 비율이 20%로 동일했다. 이로부터 10년 뒤인 2021년 조사에서는 여성 응답자의 26%가 전날 가장 많이 느낀 감정이 ‘분노’라고 답했고, 남성 응답자는 20%만이 이렇게 답해 6%p(포인트)까지 격차가 벌어졌다.
이 같은 현상은 특정 국가에서 특히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캄보디아에서는 2021년 조사에서 가장 많이 느낀 감정으로 ‘분노’를 고른 여성 응답자 비율이 작년 기준으로 남성보다 17%p 높았고, 인도‧파키스탄에서도 여성이 분노를 느낀 비율이 남성보다 12%p가량 많았다.
이는 여성의 교육 수준이 높아지고 사회진출이 갈수록 활발해지고 있지만, 가부장적 문화가 여전한 국가나 지역이 많다는 점이 주된 배경으로 지목된다고 BBC는 분석했다.
인도 출신 정신과 의사 락슈미 비자야쿠마르 박사는 “여성은 교육받고 직업을 갖고 경제적 독립을 확보하게 됐지만, 동시에 낡고 가부장적인 제도 및 문화에 얽매여 있다”면서 “집 안에 남아 있는 가부장제와 집 밖에 해방된 여성 사이의 불협화음이 큰 분노를 불러 일으킨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는 “예컨대 남성들은 퇴근 후 긴장을 풀고 휴식을 취하지만, 여성들은 퇴근하면서 ‘집에서 뭘 요리해야 하나’하는 고민을 한다”고 덧붙였다.

BBC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세계적 유행으로 이 같은 문제가 더욱 심화한 측면이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영국 싱크탱크 재정연구소(IFS)는 2020년 부모 5000쌍을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에서 코로나19 봉쇄 기간 동안 어머니가 아버지보다 더 많은 집안 일을 책임졌던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힌 바 있다.
어머니가 벌어들이는 소득이 아버지보다 높은 경우에도 이 같은 경향에는 차이가 없었다.
이와 함께 락슈미 박사는 “과거 여성이 분노를 표출하는 것이 사회적으로 용납되지 않던 때와는 달리 지금은 자유롭게 감정을 표현하는 여성이 많아졌다는 점도 여성이 남성보다 분노를 더 느낀다는 분석 결과가 나오는 배경이 됐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