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레고랜드 사태 원전 수출 영향?…이창양 "안정적 금융 조달방안 마련하라"

입력 : 2022-11-23 15:56:00 수정 : 2022-11-23 15:56:00

인쇄 메일 url 공유 - +

이창양 산업장관 3차 위원회 회의 주재…수출 점검
"발주국 여건에 최적화된 원전개발계획 연내 수립"
"자금시장 경색 우려…정책·금융간 협력체계 구축"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23일 폴란드 원전 수출과 관련, "최근 금융시장 경색 우려 등 불안요인에 대응해 정책·민간금융간 협력체계 구축 등을 통한 안정적 금융 조달방안을 마련해 달라"고 주문했다.

 

이 장관은 23일 서울 마포구 호텔 나루에서 열린 '원전수출전략 추진위원회(추진위)' 3차 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통해 관계부처에 "폴란드가 우리 원전을 신속히 도입할 수 있도록 현지 안전규제 정비, 전문인력 양성 등 정부 간 협력을 강화해 달라"며 이같이 말했다.

 

지난 8월 출범한 추진위는 산업부 장관을 위원장으로 관계부처, 금융기관, 공기업, 민간전문가 등 약 30개 원전 유관기관이 참여하는 원전수출 컨트롤타워다.

 

이 장관은 폴란드 원전 협력을 추진 중인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에는 "각 분야 최고의 기업들과 함께 부지, 용수 등 발주국 여건에 최적화된 원전 개발계획을 연내 수립해 달라"고 주문했다.

 

이 장관은 원전 기자재 수출 관련해서는 "이집트 엘다바에 이어 제2, 제3의 수출 성사를 위해 민관이 총력을 다해야 한다"며 "최근 신흥 원전국들은 1·2차측 분리발주, 노후 원전 개·보수, 원자력 안전설비 설치 등 원전 기자재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기자재 수출은 그 자체로도 중요하지만, 발주국과의 신뢰 관계를 구축해 신규원전 협력으로 연결될 수 있다"며 "노형수출 연계방안 등 창의적인 수주전략을 마련해 달라"고 주문했다.

 

이날 3차 회의에서는 ▲폴란드 원전협력 후속조치 ▲원전 기자재 수출 프로젝트 ▲체코·폴란드 원전수출 통합 지원방안 등 총 3개 안건에 대해 논의가 이뤄졌다.

 

폴란드 원전건설 협력과 관련해서는 한국형 원전 노형인 APR1400을 기반으로 한 원전 개발계획 수립 일정과 향후 조치계획을 중심으로 의견을 교환했다.

 

특히 산업부는 원전사업 금융 조달, 원전 관련 인허가 제도 정비 지원 등에 대해서 소관 부처 중심으로 신속하게 검토할 것을 요청했다.

 

또 루마니아 등 원전 신흥국을 중심으로 열리고 있는 주요 원전 기자재 프로젝트를 점검하며 사업환경을 분석하고 수출전략을 논의했다.

 

한수원은 이집트 엘다바 프로젝트에 대해 연내에 기자재 20개 품목을 발주하고 파견인력을 확정할 계획이며, 내년 1월 건설사무소 설치 등 속도감 있게 사업을 추진키로 했다.

 

산업부는 최근 폴란드와 협력의향서(LOI), 양해각서(MOU) 체결 등 변화된 원전수출 여건을 고려해, 체코·폴란드 원전수출 지원 방안을 보완·확충할 예정이다.

 

정부는 그간 추진해온 체코·폴란드와의 ▲방산 ▲산업·에너지 ▲인프라 등 협력 프로젝트를 구체화하고, 최종 사업자 선정까지 1년여 앞으로 다가온 체코와의 협력 확대에 초점을 맞춰 신규 협력사업 발굴에도 적극 나설 계획이다.

<뉴시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지수 '시크한 매력'
  • 지수 '시크한 매력'
  • 에스파 닝닝 '완벽한 비율'
  • 스칼렛 요한슨 '아름다운 미모'
  • 베이비몬스터 아현 '반가운 손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