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L-SAM 표적 요격시험 첫 성공…한국형 3축 체계 구축 가시권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2-11-22 09:47:38 수정 : 2022-11-22 09:48:16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우리 군이 40∼60㎞ 고도로 날아오는 북한발 탄도미사일을 요격하는 장거리 지대공미사일(L-SAM) 요격시험에 성공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 핵·미사일 위협에 맞선 한국형 3축 체계(킬 체인·한국형미사일방어체계·대량응징보복) 구축이 가시권에 들어온 것이다. 

L-SAM 발사 장면. 국방부 제공

22일 군에 따르면 국방과학연구소(ADD)는 이번달 L-SAM으로 실제 표적 미사일을 요격하는 시험 발사에 성공했다. 군 수뇌부가 참석한 가운데 비공개로 진행된 시험 발사에서는 대탄도탄유도탄(ABM)과 대항공기유도탄(AAM) 두 종류의 유도탄을 쏜 것으로 전해졌다. L-SAM의 표적 요격시험 성공은 이번이 처음이다.

 

군은 올해 2월 등 그간 표적 없이 미리 설정한 궤도를 따라 발사체를 쏘아 올리는 비행시험만 실시했다. 당시 발사된 L-SAM 요격미사일은 계획한 탄착점에 정확히 떨어졌다. 이후 약 9개월 만에 2단계에 해당하는 표적 요격시험까지 성공한 것이다. 

 

L-SAM은 한국형미사일방어체계(KAMD)의 핵심 무기로 꼽힌다. L-SAM은 북한 탄도미사일이 고도 40∼60㎞에서 비행할 때 요격하는 것을 목표로 개발되고 있다. 고도 15∼40㎞ 탄도미사일은 천궁-2(M-SAM2)와 패트리엇(PAC-3) 지대공미사일이, 고도 40∼150㎞는 경북 성주에 있는 주한미군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가 요격하는 방식이다. 

군은 추가 시험 발사와 평가를 거쳐 2024년 말까지 L-SAM 체계 개발을 완료하고 2026년 양산에 들어간다는 계획이다. 실전배치는 2027∼2028년쯤 이뤄질 전망인데 북한 핵·미사일 위협이 현실화한 만큼 배치 시점이 앞당겨질 수도 있다.


박수찬 기자 psc@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안은진 '완벽한 미모'
  • 안은진 '완벽한 미모'
  • 이영애 '카리스마 눈빛'
  • 권은비 '반가운 손 인사'
  • 이다희 '이기적인 비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