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동기 대비 11.4%나 감소
공기업, IT전기전자 등 감소폭 커
한전 적자폭 최대… 삼성전자 2위
올해 상반기까지 성장세를 보이던 국내 주요 대기업의 영업이익이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고환율·고유가·고금리 등 3고(高) 영향으로 공기업·IT전기전자·철강·유통·증권업종의 영업이익 감소폭이 두드러졌다. 한국전력은 3분기에만 영업손실 7조원을 넘겨 최대적자 기업 오명을 썼다.

15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올해 3분기 실적을 공개한 337개사의 실적을 조사한 결과 이들 기업의 영업이익은 총 47조4559억원으로 전년 동기(53조5696억원) 대비 11.4% 감소했다.
전체 20개 업종 중 9개 업종에서 영업이익이 줄었다. 공기업의 3분기 영업손실은 5조9425억원으로, 지난해(영업손실 1조1745억원)에 비해 4조7680억원이나 적자폭이 늘었다. IT전기전자의 영업이익은 3조4118억원 감소했고, 철강(2조513억원 감소)과 유통(1조5663억원), 증권(1조2277억원) 업종도 1조원 이상의 영업이익 감소를 보였다.
은행의 3분기 영업이익은 6조1740억원으로 지난해 동기(3조8672억원)보다 2조3068억원 늘어나 증가폭이 가장 컸다. 운송의 영업이익은 4조5337억원으로 지난해(2조5872억원)에 비해 1조9465억원 증가했다.
기업별로는 한국전력공사의 영업손실이 가장 큰 폭으로 늘었다. 한전의 3분기 영업손실은 7조5309억원으로 지난해 동기(9367억원)에 비해 적자폭이 6조5943억원이나 커졌다. 2위는 삼성전자였다.
삼성전자의 3분기 영업이익은 10조8520억원으로 지난해(15조8175억원)보다 4조9655억원 감소했다. SK하이닉스(2조5163억원 감소), 포스코홀딩스(2조1972억원), LG디스플레이(1조2882억원)도 1조원 이상 영업이익 감소세를 보였다.
반면 한국수력원자력은 올 3분기 영업이익이 지난해 동기 대비 8249억원 늘어 증가폭이 가장 컸다. 이어 삼성물산(6558억원 증가), 현대오일뱅크(5291억원), GS칼텍스(4198억원), 대한항공(3805억원), 한화(3482억원), HMM(3303억원), 하나은행(3060억원) 등 순이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