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평택 제빵공장 20대 근로자 끼임 사망사고를 시작으로 OCI 계열 SGC 이테크 안성 물류창고에서 근로자 5명이 추락한 사고 등 산업재해가 잇따른 가운데 이번에는 포항 철강공단에서 일하던 근로자가 천정크레인 구조물에 깔려 숨졌다.
22일 경찰 등에 따르면 전날인 21일 오후 1시50분쯤 경북 포항시 남구 철강공단에 있는 철구조물 제작 공장에서 60대 근로자 A씨가 천정 크레인에서 떨어진 구조물에 깔려 숨졌다.
A씨는 동료들과 작업을 하던 중 천정 크레인을 지지하는 구조물이 떨어지면서 양쪽 다리가 깔렸다.
A씨는 119에 의해 병원으로 이송됐지만 끝내 숨졌다.
사고가 난 천정 크레인은 철구조물 등을 옮기기 위해 공장 내부에 설치돼 있었다.
경찰은 “회사 안전책임자와 사고 당시 함께 근무 중이었던 근로자 등을 상대로 정확한 사고 원인을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한편 안성 물류창고 추락사고와 관련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근로감독 권한의 지방 공유’에 한목소리를 냈다.
이 대표는 지난 21일 오후 6시30분쯤 추락사고가 발생한 안성시 원곡면 소재 KY로지스 저온물류창고 신축공사 현장을 둘러본 뒤 “건설현장의 안타까운 사고들이 끊이지 않고 있다. 사람의 생명, 안전보다 비용을 중시하는 나쁜 문화로 보인다”며 “책임을 크게 안지다 보니 사용자 측에서 안전관리를 소홀히 하는 듯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노동현장에 대한 근로감독의 부족이 문제”라며 “부실 문제는 구조적인 문제라서 근로감독권을 지방(정부)과 중앙(정부)이 나눠가지게끔 하도록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지사도 지난 21일 오후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산재 사고의 비극을 막기 위한 노력에 중앙과 지방이 따로 있지 않다”며 “지방정부의 근로감독 권한 공유에 대한 전향적인 검토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산업안전보건법’은 지자체에 산업재해 예방 책무만 부여할 뿐 감독 권한이 없다. 도 차원에서 ‘노동안전지킴이’를 운영하지만 강제성 없는 행정지도만 할 수 있다”며 “지방정부에 근로감독 권한을 공유해줄 것을 지속적으로 중앙정부에 건의하는 이유”라고 덧붙였다.
김 지사는 “이 같은 제도 개선이 이뤄지면 산재 사고를 조금이라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중앙정부는 국제노동기구(ILO) 협약과 지방자치법상 근로감독 업무는 중앙정부 사무라며 난색을 표하고 있다”며 “지방정부의 근로감독 권한 공유에 대한 전향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산재는 이젠 멈춰야 한다”고 밝혔다.
※ 제보를 기다립니다. [메일] blondie@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