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남성' '여성' 아닌 '제3의 성' 인정, 신분증에 'X'로 표기

관련이슈 이슈키워드

입력 : 2022-10-17 16:22:32 수정 : 2022-10-17 16:22:32

인쇄 메일 url 공유 - +

'X'가 표기된 신분증을 들고 있는 셰인 시엔푸에고스(29). Memoria Trans Chilena 트위터 캡처

 

칠레 공식 문서에서 남성이나 여성이 아닌 ‘제3의 성’ 표기를 공식 인정했다.

 

중남미 매체들의 16일(현지시간) 보도에 따르면 칠레 정부는 지난 14일 역사상 처음으로 성별 표시란에 ‘X’로 인쇄된 논바이너리(non-binary) 신분증을 셰인 시엔푸에고스(사진)에게 발급했다.

 

논바이너리는 남녀라는 이분법적 성별 구분서 벗어난 성 정체성을 지닌 사람을 뜻하는 용어다.

 

칠레에서 성중립 다양성을 위한 사회단체를 이끄는 시엔푸에고스는 제3의 성을 공식 문서상으로도 인정받기 위해 진행한 9년간의 법정 투쟁에서 승소하면서 논바이너리 신분증을 받게 됐다.

 

그는 “이것은 나 혼자만의 승리가 아니라, 모두의 승리”라고 말했다.

 

칠레는 성 소수자 정책과 관련해 진보적인 국가 중 하나로 꼽힌다. 특히 성 소수자 관련 권리를 대폭 확대하는 취지의 문구를 아예 헌법에 명문화하려는 움직임도 보인 바 있다. 다만, 이 헌법 개정안은 지난달 국민투표에서 부결돼 국회에서 다시 손보고 있다.

 

중남미에서는 지난해 4월 아르헨티나 정부가 주민등록증과 여권에 남성(M)·여성(F) 외에 ‘X’ 성별 옵션을 추가한 것을 시작으로, 멕시코와 콜롬비아가 그 뒤를 이었다. 전 세계적으로는 미국, 뉴질랜드, 독일, 호주, 네팔 등에서 제3의 성 표기를 허용했다.

 

특히, 미국은 지난 4월부터 여권 성별에 ‘X’를 선택해 표기할 수 있도록 했으며, 내년 말까지 여권 카드, 비상 여권, 신속·긴급여권, 해외 출생 영사 보고서 등에도 ‘젠더 X’를 표시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개선한다는 방침이다.


이윤오 온라인 뉴스 기자 only65@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아이들 슈화 '깜찍한 볼하트'
  • 아이들 슈화 '깜찍한 볼하트'
  • 아이들 미연 '깜찍한 볼하트'
  • 이민정 '반가운 손인사'
  • 이즈나 정세비 '빛나는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