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에너지 위기에 대처하기 위해 원전 가동을 최대한으로 늘리는 한편 연료비 연동제의 조정폭을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와 함께 에너지 대용량 사용자에 대해 전기요금을 차등 적용하고, 농업용 전력 등 전기요금 특례제도를 개선하는 방안도 들여다보고 있다.

박일준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은 2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에너지 현안에 관해 이야기를 나눴다.
박 차관은 “현 상황에서 제일 중요한 것은 원전 가동을 최대한으로 늘려서 한국전력(한전)이 요금을 부담하는 것을 최대한 줄여야 할 필요가 있다”며 “전력공급 측면에서는 원전의 원가가 가장 저렴하기 때문에 한전 적자 부담 해소에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연료비 연동제의 조정단가 인상 폭 확대도 추진한다. 연료비 연동제는 석유, 석탄, 액화천연가스(LNG) 등 전기 생산에 들어간 연료비 변동분을 3개월 단위로 전기요금에 반영하는 것으로, 조정 폭은 직전 분기 대비 ㎾h당 최대 ±3원, 연간 최대 ±5원으로 제한하고 있다. 조정 폭을 확대하면 한전의 적자 규모를 더 줄일 수 있지만 물가를 자극할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산업부와 기획재정부 등 물가당국이 적정 수준을 놓고 협의 중이라고 박 차관은 전했다.
에너지 다소비 기업의 요금 부담을 늘리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다. 박 차관은 “전체 전력 사용 가입자 중 산업용 전기 가입자는 0.2%에 불과하지만 사용량은 절반에 가깝다”며 “모든 국민이 다 절약할 필요가 있지만 특히 에너지를 많이 쓰는 곳이 조금 더 신경을 쓰면 절약 효과가 크게 나타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에너지 다소비 사업장 30곳의 자발적 에너지 효율화를 추진하고, 대용량 사용자에 대해서 전기요금을 차등 적용하는 부분도 고민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전기요금 특례제도도 따져보기로 했다. 박 차관은 “농업용 전기는 원가회수율이 25%밖에 안 된다”며 “30대 대기업 집단도 농사용 전기를 쓴다”고 말했다. 이어 “시차를 두고 천천히 (전기요금을) 조정해야 하는데 수는 많지 않지만 대기업의 여력이 어느 정도 되는 분도 농사용 전력을 쓰는 게 국민 정서에 맞겠냐 하는 부분도 고민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박 차관은 에너지 가격 상승으로 큰 이익을 본 에너지 업체들을 상대로 ‘횡재세’를 걷는 방안은 논의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은 지난 14일 유럽의회 연설에서 발전 및 화석연료 업체들의 초과이익에 횡재세를 매겨 1400억유로(약 195조원)를 마련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