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산업 차관 “연료비 연동제 조정폭 확대 검토…에너지 대용량 사용자 전기요금 차등 적용도 검토”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2-09-21 18:15:37 수정 : 2022-09-21 18:15:36

인쇄 메일 url 공유 - +

정부가 에너지 위기에 대처하기 위해 원전 가동을 최대한으로 늘리는 한편 연료비 연동제의 조정폭을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와 함께 에너지 대용량 사용자에 대해 전기요금을 차등 적용하고, 농업용 전력 등 전기요금 특례제도를 개선하는 방안도 들여다보고 있다.

박일준 산업통상자원부 제2차관이 21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63빌딩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29회 대한민국 가스안전대상'에 참석해 축사를 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박일준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은 2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에너지 현안에 관해 이야기를 나눴다.

 

박 차관은 “현 상황에서 제일 중요한 것은 원전 가동을 최대한으로 늘려서 한국전력(한전)이 요금을 부담하는 것을 최대한 줄여야 할 필요가 있다”며 “전력공급 측면에서는 원전의 원가가 가장 저렴하기 때문에 한전 적자 부담 해소에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연료비 연동제의 조정단가 인상 폭 확대도 추진한다. 연료비 연동제는 석유, 석탄, 액화천연가스(LNG) 등 전기 생산에 들어간 연료비 변동분을 3개월 단위로 전기요금에 반영하는 것으로, 조정 폭은 직전 분기 대비 ㎾h당 최대 ±3원, 연간 최대 ±5원으로 제한하고 있다. 조정 폭을 확대하면 한전의 적자 규모를 더 줄일 수 있지만 물가를 자극할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산업부와 기획재정부 등 물가당국이 적정 수준을 놓고 협의 중이라고 박 차관은 전했다.

 

에너지 다소비 기업의 요금 부담을 늘리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다. 박 차관은 “전체 전력 사용 가입자 중 산업용 전기 가입자는 0.2%에 불과하지만 사용량은 절반에 가깝다”며 “모든 국민이 다 절약할 필요가 있지만 특히 에너지를 많이 쓰는 곳이 조금 더 신경을 쓰면 절약 효과가 크게 나타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에너지 다소비 사업장 30곳의 자발적 에너지 효율화를 추진하고, 대용량 사용자에 대해서 전기요금을 차등 적용하는 부분도 고민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전기요금 특례제도도 따져보기로 했다. 박 차관은 “농업용 전기는 원가회수율이 25%밖에 안 된다”며 “30대 대기업 집단도 농사용 전기를 쓴다”고 말했다. 이어 “시차를 두고 천천히 (전기요금을) 조정해야 하는데 수는 많지 않지만 대기업의 여력이 어느 정도 되는 분도 농사용 전력을 쓰는 게 국민 정서에 맞겠냐 하는 부분도 고민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박 차관은 에너지 가격 상승으로 큰 이익을 본 에너지 업체들을 상대로 ‘횡재세’를 걷는 방안은 논의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은 지난 14일 유럽의회 연설에서 발전 및 화석연료 업체들의 초과이익에 횡재세를 매겨 1400억유로(약 195조원)를 마련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우상규 기자 skwoo@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지수 '시크한 매력'
  • 지수 '시크한 매력'
  • 에스파 닝닝 '완벽한 비율'
  • 블링원 클로이 '완벽한 미모'
  • 스칼렛 요한슨 '아름다운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