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측성 보도’ 삼가 재차 당부도…“결정 내리고 회의 시작하지 않는다”
이준석, “공교롭게 윤리위 18일 또는 19일 개최 일정 이야기 나와… 오비이락이기를”

국민의힘 중앙당 윤리위원회가 18일 긴급회의를 소집했다. 지난 회의에서 보류된 안건을 추가 논의할 예정이라는 게 윤리위 설명인데, 이준석 전 대표 관련 논의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할 수 없어 보인다.
이양희 윤리위원장은 이날 오후 3시부터 국회 본관에서 윤리위 회의를 시작하기 앞서 “지난달 22일 제6차 윤리위 개최 이후 윤리위원들께서 오는 28일 개최될 회의에 앞서 계류된 안건들을 논의할 필요성이 있다는 요청이 있었다”고 기자들에게 밝혔다. 이어 “당헌·당규상 (재적위원) 3분의 1 이상이 요청하면 위원장으로서 회의를 소집할 수밖에 없다”며 “빨리 회의를 소집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의견이 있었는데 9월초는 추석 연휴가 끼어있다 보니 여기까지 미뤄져 오늘 소집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앞서 정치권에서는 ‘수해 봉사 현장 실언’ 논란을 빚은 김성원 의원 등 징계를 논의하기로 한 28일 회의에서 이 전 대표 관련 추가 징계 건도 함께 다룰 것이라는 관측이 있었지만, 윤리위는 김 의원 등 징계 건을 다루는 해당 회의와 달리 별개의 추가 회의를 소집했다.
이 위원장은 이날 윤리위 회의에서 이 전 대표 제명을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는 일부 언론 보도에 “너무나 추측성 기사들을 많이 쓰고 있다”며 “매번 제가 이 자리에서 추측성 기사를 삼가달라고 말씀드렸는데도 그런 기사들이 계속 나오는데, 이번에도 추측성 기사는 삼가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계속해서 “윤리위는 어느 상황에서도 결정을 내리고 회의를 시작하지 않는다”며 “당헌·당규에 근거해 항상 회의를 진행한다”고 강조했다.

당 안팎에서는 윤리위가 이 전 대표 추가 징계 절차를 개시할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 지난달 27일 열린 국민의힘 의원총회에서 이 전 대표가 기자회견에서 윤석열 대통령과 국민의힘을 비판하며 언급한 ‘개고기’·‘양두구육’·‘신군부’ 등 발언을 놓고 추가 징계를 촉구한 바 있는데, 윤리위가 지난 1일 입장문에서 “의총 의견을 존중한다”고 밝혀서다. 이 위원장과 윤리위원들 임기가 10월 중순까지인 점도 이 전 대표 추가 징계에 속도가 붙을 거라는 전망에 힘을 싣는다.
이 전 대표는 지난 17일 오전 10시쯤 피고발인 신분으로 서울경찰청·반부패공공범죄수사대에 출석해 오후 10시까지 12시간가량 조사를 받고 귀가했다. 이 전 대표는 김성진 아이카이스트 대표에게서 2013년 두 차례 성 상납을 받았다는 의혹 등을 받고 있다. 이번 조사는 윤리위의 18일 긴급회의를 하루 앞두고 이뤄진 것으로, 이 전 대표는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서울경찰청 반부패수사부와 조율됐던 대로 오늘 오전부터 출석해 저에 대한 고발 사건들 조사에 응했다”고 밝혔다.
이튿날인 18일에는 SNS에 글을 올려 “수사기관과 상당한 시간 전부터 조율해서 17일 오전 조사일정을 확정했는데, 이 일정은 조사가 시작될 때까지도 당내 다른 인사나 언론은 입수하지 못했다”면서 “공교롭게도 윤리위원회만 18일 또는 19일로 개최 일정을 조정한다는 이야기가 흘러나왔다”는 말로 이러한 이야기들이 단지 ‘오비이락’이기를 바란다고 했다. 윤리위가 경찰 소환 일정을 미리 알고서 긴급회의 일정을 잡았을 가능성이 있지 않겠냐고 이 전 대표가 의심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 전 대표는 같은 날 추가로 올린 글에서는 “오늘도 다시 한 번 윤핵관의 이익을 위해 그들이 무리수를 둘 것”이라고 썼다. 짧은 글이지만 일부에서는 이 전 대표가 ‘윤핵관의’, ‘이익을’, ‘위하여’를 쓰면서 줄 바꿈 한 것을 놓고 각 문구 앞 글자 ‘윤,이,위’를 가져와 윤리위를 겨냥한 것 아니냐는 추측을 내놓는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