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행복한 삶 위해 ‘건강’ 1순위로 꼽은 미국 Z세대…한국은?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2-09-11 23:30:00 수정 : 2022-09-12 08:35:05
유지혜 기자 keep@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한국의 Z세대(1990년대 중반∼2000년대 초반 출생)가 행복한 삶을 위해 가장 필수적이라고 생각하는 요소는 소득과 재산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반면 미국 Z세대는 신체적·정신적 건강을 1순위로 꼽았고, 인간관계를 더 중요하게 여겼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11일 소비자 데이터 플랫폼 오픈서베이의 ‘Z세대 트렌드 리포트 2022’에 따르면 한국 Z세대 33.2%는 행복한 삶을 위한 필수 요소 중 1순위로 소득·재산을 꼽았다. 1∼3순위 안에 소득·재산을 넣은 한국 Z세대는 62.7%에 달했다. 이번 조사는 한국과 미국에 거주하는 1997∼2007년생 424명을 대상으로 지난 7∼8월에 걸쳐 이뤄졌다.

한국 Z세대의 1순위 응답 중 소득·재산 다음으로는 △신체적·정신적 건강(28.2%) △인간관계·우정(7.7%) △직업·커리어(5%) △연애·사랑(5.9%) △자기계발·여가활동(5.9%) △결혼·가정(5.9%) △안전(4.5%) △지식(2.3%) △명예·사회적 지위(0.5%) 등이 뒤를 이었다.

 

미국 Z세대 28.4%는 신체적·정신적 건강이 행복한 삶을 위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이어 소득·재산이 16.2%, 인간관계·우정이 12.3%로 뒤를 이었다. 1∼3순위로 넓혀보면 미국 Z세대는 상대적으로 한국보다 인간관계·우정이 중요하다는 인식이 높았고, 소득·재산을 중요시하는 비율이 낮았다.

 

한국과 미국의 Z세대는 모두 본인의 10년 뒤 경제 상황은 긍정적으로 여겼지만, 국가의 경제 상황은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강했다. 한국 Z세대의 83.6%, 미국 Z세대의 81.9%는 10년 뒤 본인의 경제 상황이 지금보다 나아질 것이라고 응답했다. 반면 10년 뒤 나라의 경제 상황이 지금보다 나아질 것이라는 응답은 한국 32.3%, 미국 29.4%에 그쳤다.

스마트폰에 5개의 애플리케이션(앱)만 남길 수 있다고 가정했을 때, 한국과 미국의 Z세대 모두 인스타그램과 유튜브를 많이 선택했다. 한국은 카카오톡, 유튜브, 인스타그램, 네이버, 토스 순으로 미국은 인스타그램, 스냅챗, 유튜브, 틱톡, 페이스북 순으로 나타났다.


오피니언

포토

정소민 '상큼 발랄'
  • 정소민 '상큼 발랄'
  • 아이유 '눈부신 미모'
  • 수지 '매력적인 눈빛'
  • 아일릿 원희 '반가운 손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