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정상체중·저체중 학생 10명 중 4명 ‘살쪘다’고 인식

관련이슈 이슈키워드

입력 : 2022-07-19 10:09:17 수정 : 2022-07-20 16:04:58
이승구 온라인 뉴스 기자 lee_owl@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가천대 계승희 교수팀, 여자 중·고교생 2만여명 분석
“신체 이미지 왜곡, 정상체중 여학생이 더 심해”
“여고생 신체 이미지 왜곡 위험, 여중생의 1.4배”
게티이미지뱅크

 

정상체중 또는 저체중 여학생 10명 중 4명은 자신이 ‘살쪘다’라고 잘못 인식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 같은 신체 이미지 왜곡은 저체중 여학생보다 정상 체중 여학생에서 더 심했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19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가천대 교육대학원 계승희 교수팀은 ‘한국 청소년 여학생의 신체 이미지 왜곡 실태와 영향요인- 제14차 청소년건강행태조사 이용 -’이라는 논문에서 이 같이 밝혔다.

 

신체 이미지 왜곡은 자신의 실제 신체를 판단할 때 올바르게 지각하지 못하고 왜곡하는 것을 의미한다. 신체 이미지를 왜곡해 인지하면 낮은 자존감을 형성하고, 신체에 대한 불만족은 폭식증이나 잘못된 체중조절 행동을 유도할 수 있다. 부정적인 사고를 갖게 돼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에서도 소극적이며 수동적인 태도를 보이기 쉽다. 

 

연구팀은 질병관리청의 2018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에 참여한 여학생 중 저체중 또는 정상체중인 중·고교생 2만1685명을 대상으로 ‘자신의 체형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분석했다.

 

그 결과, ‘비만의 척도’인 체질량지수(BMI)를 토대로 저체중 또는 정상 체중 판정을 받은 여학생의 39.5%는 자신의 신체 이미지를 왜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체중이 저체중인데 자신의 체형을 ‘보통이다’, ‘살이 약간 쪘다’, ‘살이 많이 쪘다’고 응답한 여학생의 비율은 각각 15.4%, 2.0%, 0.5%였다. 또 실제 체중이 정상인인데도 자신의 체형을 ‘살이 약간 쪘다’, ‘살이 많이 쪘다’라고 인식하는 비율은 각각 40.4%, 1.9%였다. 

 

연구팀은 “정상체중인 여학생이 저체중인 여학생보다 자신의 체형을 왜곡하는 비율이 훨씬 높았다”고 지적했다.

 

구체적으로 고등학교 여학생의 신체 이미지 왜곡 위험은 중학교 여학생의 1.4배였고, 가구 소득이 낮거나 성적이 떨어지는 여학생의 신체 이미지 왜곡 위험이 더 컸다. 음주 여학생은 비(非) 음주 여학생보다 신체 이미지 왜곡 위험이 1.2배 높았다. 주 3일 이상 운동하는 여학생의 신체 이미지 왜곡 위험이 주 3일 미만 운동하는 여학생보다 1.2배 높았다.

 

연구팀은 “지금까지 대중매체에서 주목받은 여성의 이상적인 신체 이미지는 마르고 날씬한 체형이었다”라며 “앞으로는 여성의 표준체중을 바탕으로 균형 잡힌 체형에 대한 기준과 정보제공으로 청소년이 자신의 신체 이미지를 바르게 인지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최근호에 실렸다. 


오피니언

포토

송해나 '심쿵'
  • 송해나 '심쿵'
  • 투어스 신유 '부드러운 미소'
  • '컴백 D-1' 화사
  • 정소민 '상큼 발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