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간 탈원전 바보짓… 폐허로
신속히 궤도 올려놓을 것” 강조
2025년까지 1조 이상 추가 발주
신한울 3·4호기 조기 건설재개

정부가 올해 원전산업 협력업체에 925억원 규모의 긴급 일감을 발주하고, 2025년까지 1조원 이상 일감을 추가 발주하기로 했다. 문재인정부의 ‘탈원전 기조’에 따라 위축된 원전 산업에 긴급 지원을 통해 우리나라 원전산업의 국제 경쟁력을 제고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22일 경남 창원에서 윤석열 대통령과 관계부처 장관, 원전산업계 관계자 3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원전산업 협력업체 간담회’를 개최하고 이런 내용을 담은 원전산업 협력업체 및 원전 중소기업 지원 대책을 발표했다.
윤 대통령은 “지난 5년 동안 바보 같은 짓을 안 하고 원전 생태계를 탄탄히 구축했다면 경쟁자가 없었을 것이다. 원전 업계는 ‘탈원전’ 폭탄이 떨어져 폐허가 된 전시”라며 “더 키워나가야 할 원전 산업이 수년간 어려움에 직면해 아주 안타깝고, 지금이라도 바로잡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탈원전은 폐기하고 원전산업을 키우는 것으로 방향을 잡았지만 방향만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이 산업을 신속하게 궤도에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철철 넘칠 정도로 지원해야 살까 말까 한 상황”이라며 신한울 3·4기 조기 건설 재개와 정부 차원의 선발주를 통한 원전 생태계 재구축을 주문했다.

나토(북대서양조약기구) 정상회담을 필두로 시작될 외교 무대에서 원전 세일즈에 적극 앞장서겠다는 입장도 밝혔다. 윤 대통령은 “앞으로 외국 정상들을 만나게 되면 원전 세일즈를 위해 백방으로 뛰겠다”며 “세계 원전 시장 규모가 1000조원에 달하는데, 지금 어려운 원전 업계에 응급조치를 취해 살려놓으면, 전후방 연관효과가 나면서 우리 경제에 좋은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말했다.

간담회에 앞서 윤 대통령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원전 주기기를 제작하는 기업인 두산에너빌리티의 경남 창원 원자력공장을 방문했다.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이영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동행했으며 윤 대통령은 건설이 중단된 신한울 3·4호기 원자로 주단소재, 신호기 6호기 원자로 헤드 등의 설비가 있는 단조 공장을 30분가량 둘러봤다. 윤 대통령이 창원 원전 업체를 찾은 것은 지난 4월 경남 창원국가산업단지를 방문한 이후 두 달 만이다.
원전 업계는 지난 5년간 탈원전 정책 추진에 따라 신규 일감 감소 등으로 된서리를 맞았다.

한국원자력산업협회의 원자력산업실태조사에 따르면 2016년 5조5034억원에 달하던 국내 원전산업 매출은 2020년 4조573억원으로 축소됐고, 수출은 같은 기간 1억2641만달러에서 3372만달러로 쪼그라들었다. 2만2000명이던 인력도 1만9000명으로 줄었다. 정부는 원전 산업생태계 복원을 위해서 올해 신한울 3·4호 건설 설계 등 925억원 수준의 긴급 발주를 우선 추진하기로 했다. 원전산업 협력업체의 자금난 해소에 3800억원, 기술경쟁력 강화에 6700억원도 각각 투입한다.
한편 이날 간담회에서 두산에너빌리티는 협력사 기술인력 양성·품질전문가 파견 등 기술지원을 확대하고, 동반성장펀드를 활용한 대출 확대·품질 인증 지원·장기공급협약 체결 확대 등 협력업체 상생방안을 발표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