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흥우주발사전망대 시민들 ‘북적’
무더운 날씨에도 태극기 들고 직관
127초에 1단, 233초에 페어링 분리
고비 넘을 때마다 ‘긴장·안도’ 교차

“5, 4, 3, 2, 1, 발사!”
21일 오후 4시, 누리호 1단 로켓 끄트머리에서 힘찬 불꽃이 튀었다. 엄청난 굉음은 발사대에서 3㎞ 떨어진 프레스센터에 자리 잡은 취재진의 귀를 먹먹하게 할 정도였다. 누리호는 이내 거침없는 기세로 하늘로 치솟았다. 1단 분리, 페어링 분리 성공, 2단 분리, 성능검증위성 분리 소식이 시시각각 전해질 때마다 안도와 환호가 밀려왔다. 순수 국산 발사체로 자력 우주 개발의 염원을 담은 누리호가 우주를 향한 큰 걸음을 내디딘 순간이었다.
누리호가 이륙한 이후 정상 비행을 하며 모든 발사 과정을 예정대로 하나하나 달성할 때마다 나로우주센터 발사지휘센터에는 환호와 박수가 터져나왔다. 서로에게 엄지를 치켜세우고 껴안으며 자축했다.
기쁨은 잠시였을 뿐 이내 긴장감이 감돌았다. 위성 교신 점검과 공식 확인이 이뤄질 때까지 한순간도 마음을 놓지 못한 탓이다.

발사 성공이 최종 확정되자 다시 센터는 환호의 장으로 바뀌었다. 고정환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형발사체개발본부장은 “발사체가 어제 조립동을 출발하는 순간부터 모든 분이 조마조마해했다”며 “최종적으로 (성능검증위성이) 분리되고 끝날 때까지 잘되길 바라며 지켜볼 수 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이날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 제2발사대에서 발사된 누리호는 발사 시점으로부터 127초가 지나 고도 59㎞에서 1단 엔진이 성공적으로 분리됐다. 233초엔 고도 191㎞에서 페어링(탑재된 위성모사체 보호 덮개) 분리가 이뤄졌다. 2009년 나로호 발사 때는 페어링이 제대로 분리되지 않아 위성이 궤도 진입에 실패했지만, 이번 누리호 발사에선 아무 문제도 나타나지 않았다.
발사 후 274초가 지나자 고도 258㎞에서 2단 엔진이 모두 연소해 분리됐다. 897초엔 최종 고도 700㎞에서 성능검증위성이 떨어져 나갔다. 967초가 지나 위성모사체까지 순조롭게 분리됐다.

발사 직전까지 적막과 긴장감이 감돌았던 나로우주센터 내 관계자들과 취재진 사이에선 “됐다” “가자 가자”를 외치는 환호성과 박수가 나왔다.
이날 기상 상황도 누리호의 편이었다. 나로우주센터 주변은 구름 한 점 없는 맑은 날씨를 유지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오태석 1차관은 오후 브리핑에서 “고층풍의 경우 현재 발사 기준으로 삼고 있는 초속 75∼80m에 한참 못 미친다”고 밝혔다. 이날 지상풍은 오후 4시 기준 초속 4m, 고층풍은 낮 12시 측정 기준 초속 15m였다.
고흥우주발사전망대는 누리호의 성공적 발사를 기원하는 시민들의 발길로 북적였다. 전국 각지에서 모여든 인파는 이날 무더운 날씨에도 전망대 주변에 돗자리와 간이 의자를 펼치고 누리호 발사를 육안으로 지켜봤다. 고흥군은 전망대에 누리호 발사를 중계하는 대형 스크린을 설치했다. 긴장과 설렘이 교차하는 분위기 속에 시민들은 태극기를 들고 누리호의 성공적인 발사를 끝까지 응원했다.

이날 누리호 2차 발사는 한순간도 긴장감을 늦출 수 없었다. 앞서 부품 오작동 문제로 발사 중단을 겪었던 연구진은 발사 성공을 위해 오전부터 절차대로 준비를 진행하며 긴장의 끈을 조였다. 항우연 기술진은 오전 비행시험위원회를 열고 발사를 위한 기상 및 준비 상황 등을 최종 점검했다. 누리호 발사관리위원회도 오전과 오후 발사관리위원회를 열고 발사 준비 상황, 우주물체와 충돌 가능성을 마지막까지 종합적으로 검토했다.
오 차관은 발사에 앞서 프레스센터에서 기자들과 만나 “할 수 있는 것은 다했다. 간절한 마음으로 성공을 기원하고 최선을 다할 예정”이라며 “진인사대천명(盡人事待天命)의 심정”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21일로 발사일을 특정할 때만 해도 기상 상황의 불확실성이 많다고 했지만, 좋은 쪽으로 풀렸다”며 “비도 안 오고 바람도 적고 고층풍이 약하고 낙뢰 위험도 적어 관계자들이 잘될 것 같다는 말씀을 해주셨다”고 전했다.
누리호는 국내 우주기술 발전을 이끈 집합체다. 국내 연구진은 자력으로 75t급 액체엔진을 개발해 2018년 11월 이 엔진을 적용한 시험발사체 발사에 성공했다. 개발 초기 액체엔진과 주요 구성품 개발을 위한 시험설비가 없어 러시아로부터 이를 빌려 썼지만 이제는 미국, 러시아와 대등한 설비를 구축했다. 러시아로부터 도면을 가져와 만들었던 1발사대와 다르게 2발사대는 설계부터 조립까지 전 과정을 국산화했다.

누리호는 이번 2차 발사 이후 내년 초 3차 발사를 포함해 2027년까지 4차례 추가 발사 계획이 잡혀 있다. 누리호 성능을 지속적으로 높이고 검증하는 고도화 사업이다. 이 사업은 정부와 민간이 공동으로 주관한다. 항우연으로부터 누리호 개발 기술을 민간으로 이전시켜 진행하기 때문에 민간 발사체 시장에도 크게 기여할 전망이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