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달 음식을 주문할 때 “덜 짜게” 혹은 “덜 달게” 음식을 만들어 달라고 요청할 수 있게 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적절한 영양소·에너지를 갖춘 건강도시락 인증제도 도입한다.
보건복지부는 20일 제4차 국민건강증진정책심의위원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제3차 국민영양관리기본계획(2022~2026년)’을 심의·의결했다.
국민영양관리기본계획은 △국민 식생활 변화 인식 제고 추진 △건강한 식생활 선택을 위한 환경 조선 △생활밀착형 영양관리 맞춤서비스 강화 △영양관리 기반 내실화를 위한 근거 강화 및 인프라 확충 4개 추진 전략과 15개 실천과제로 구성했다.
이번 계획에는 1인 가구 증가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행으로 배달음식·도시락 이용이 증가한 데 대한 대책이 포함됐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조사에 따르면 20~29세의 경우 코로나19 이후 배달음식, 간편식 섭취가 각각 44.6%, 55.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 10명 중 4명은 코로나19 이후 몸무게가 3㎏ 이상 증가했다.
배달음식, 가공식품, 도시락 등은 나트륨·당류 등의 섭취 과잉, 신선한 과일 및 채소섭취 부족 등의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시중에 판매되는 도시락의 나트륨 함량은 하루 섭취 권고량의 60% 이상으로 조사된 바 있다.
정부는 이에 따라 이르면 2024년 배달앱을 통해 음식 주문 시 나트륨·당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배달전문업체들과 협의체를 구성해 예산, 정책 등 필요한 분야를 협의하고 지원하기로 했다. 장기적으로는 배달앱에 나트륨·당 등 영양정보 표기 확대를 추진한다. 현재는 햄버거 등 일부 품목만 영양정보를 표기하고 있다.
현재 115개 품목인 영양정보 표시 대상을 떡류, 김치류 등을 포함해 176개 품목으로 늘린다. 나트륨 줄이기 실천 음식점 등 관련 정보 제공 음식점도 늘린다는 계획이다.
영양균형을 갖춘 도시락 생산을 독려하기 위해 건강도시락 인증제도도 도입한다. 한씩 식사로 적절한 에너지와 영양소를 갖추고 있는지 확인해 상품에 인증 표시를 할 수 있게 할 방침이다. 나트륨·당류 함유량을 일정 수준 이상 낮춘 경우 ‘덜 짠’, ‘덜 단’ 등의 문구를 표시할 수 있는 대상에 즉석섭취식품 및 즉석조리식품을 추가한다.
이와 함께 정부는 코로나19 유행 사태로 드러난 사회경제적 취약계층의 영양섭취 부족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국가적 재난 상황 시 긴급영양지원 정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대상·상황별로 매뉴얼을 만들고 지역 내 먹거리 자원을 표시한 식품지도를 제작하기로 했다.
임산부, 1인 가구 등에 대한 영양지원은 확대한다. 영양플러스 사원 지원 대상에 영양위험 임산부·영유아 외에 비만, 당뇨, 고혈압 보유 임산부·영유아를 추가한다. 식품도 다양화하기로 했다.
아동·청소년에는 건강과일바구니 사업을 통해 지역아동센터에 과일을 제공한다. 경제적으로 취약한 20대 청·장년 1인 가구와 상대적으로 영양관리에 취약한 30~50대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한 영양관리 프로그램 개발을 추진한다. 노인을 대상으로 도시락 제공 등 영양돌봄 서비스 프로그램 운영을 확대한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안전나라’, 농촌진흥청 ‘농식품 올바로’ 등으로 흩어져 있는 영양·식생활 정보를 통합해 제공하는 포털을 구축하고, 개인별 식생활을 진단하고 실천가능한 솔루션을 제공해주는 ‘스마트 영양관리 서비스 앱’을 보급하기로 했다. 정부는 이들 정책을 통해 나트륨 적정 섭취 인구 비율을 현재 33.6%에서 2026년 38.6%, 당 적정 섭취 인구 비율은 같은 기간 72.3%에서 80%로 늘린다는 목표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