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 고용의 질이 여전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발생 이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이 20일 발표한 ‘우리나라 고용의 질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 발발 직전인 2020년 1월 수준을 100으로 봤을 때, 고용의 양(취업자 수)은 올해 4월 기준 102.1에 이르지만, 고용의 질(지수)은 99.2로 100을 밑돌았다. 고용의 질 지수는 △종사상 지위(계약 상용직, 임시직, 일용직, 자영업자 등을 취약으로 분류) △근로시간(비자발적 36시간 미만을 취약으로 분류) △실직위험(단순노무 및 취약산업, 종사자 5인 미만 사업장 등을 취약으로 분류)의 3가지 측면으로 평가됐다.
송상윤 한은 조사국 고용분석팀 과장은 “최근 고용의 질은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회복 속도는 고용의 양과 비교해 다소 더디다”고 진단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