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대전도시철도 2호선 트램, 2027년 개통 무산… 장기 표류하나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2-06-19 20:38:56 수정 : 2022-06-19 20:38:55

인쇄 메일 url 공유 - +

대전도시철도 2호선 트램(노면전차) 개통이 1년 연장된다.

 

트램 기본설계 결과 총사업비가 증액된 데에 따른 순연인데, 이장우 대전시장 당선자가 트램 운행의 비효율성을 들어 ‘재검토’를 시사해 장기 표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대전시는 민선8기 출범에 앞서 트램 기본설계 결과 총사업비가 1조4837억원(국비 8710억·시비 6127억원)으로 잠정 결정됐다고 19일 밝혔다.

 

이는 2020년 트램 기본계획 수립 당시 국토교통부가 승인한 7492억원(국비 4361억원·시비 3131억원)보다 두 배 가까이 늘어난 것이다. 

 

총사업비가 껑충뛴 이유는 물가·토지가격 인상분(1368억원), 급전시설 변경((배터리 방식→배터리를 기반으로 한 유·무가선 혼용방식·672억원), 구조물 보강·지장물 이설비용(1688억원) 등의 현실화 등이다. 또 경사가 있는 중구 테미고개 구간을 지하화(530억원)하고, 대전역 경유 신설 및 노선 일부 변경으로 정거장 10곳을 추가(136억원)한 결과다. 

 

사업비 증액으로 기재부와 총사업비 재협의는 불가피해졌다. 시는 늘어난 사업비 등을 반영해 기본계획을 변경하고 내년 상반기까지 기재부와 총사업비 조정 협의를 마칠 계획이다. 정상 추진되더라도 사업비 분담금이 늘어나 시 재정에 상당한 부담이 될 것으로 보인다.

 

착공 및 개통 시기는 각각 1년씩 순연된다. 트램 착공은 2023년 상반기에서 2024년 상반기로, 개통은 2027년 말에서 2028년 말로 예상된다. 

 

당초 2025년 말을 목표로 했던 트램 개통 시기는 서대전육교 지하화 등 사업물량 증가에 따라 2027년 말로 이미 한 차례 연기된 바 있다. 

 

정부 예비타당성조사를 면제받으려고 초기에 의도적으로 사업비를 낮게 책정한 것 아니냐는 논란도 일고 있다.

 

경제성이 떨어져 정부 예타 문턱을 넘지 못하던 대전 트램은 2019년 문재인정부의 예타 면제 사업으로 지정돼 속도를 내게 됐다. 

 

조철휘 시 트램도시광역본부장은 “정부 예타를 면제받기 위해 어려움이 있었고 저희 스스로 사업비를 줄인 측면이 있다”며 “트램이 국내에서 처음 하는 것이라 표준단가로 사업비를 추정했는데 대전뿐만 아니라 앞으로 타 지자체에서 트램을 도입할 때 예타조사 지침상으로 사업비를 현실화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트램 최고·평정 속도는 기존 예측보다 느려졌다.

 

최고속도는 시속 70㎞에서 50㎞로, 평정속도(거리/총운행시간)는 25.7㎞에서 19.82㎞로 낮아졌다. 평정속도는 도시철도 1호선(31㎞)보다는 느리고, 시내버스(17.7㎞)보다 조금 빠른 수준이다.

 

트램 속도가 애초 예측보다 느려지면서 차량 편성은 하루 27편에서 39편으로 늘었다. 출퇴근 시간에는 8분, 기타 시간대는 10.6분 간격으로 운행될 예정이다. 

 

대전시장직 인수위원회 관계자는 “일부 계획을 보완하면 사업비가 더 늘어날 수도 있다”며 “전문가들과 종합적으로 다시 검토해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대전=강은선 기자 groove@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지수 '시크한 매력'
  • 지수 '시크한 매력'
  • 에스파 닝닝 '완벽한 비율'
  • 블링원 클로이 '완벽한 미모'
  • 스칼렛 요한슨 '아름다운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