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가 인공지능(AI) 기반 로봇 산업 선점에 나서는 등 ‘디지털 플랫폼 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AI, 빅데이터, 클라우드(Cloud) 등 핵심 역량을 기반으로 기업가치를 높이고 이를 자사 신성장동력으로 육성하겠다는 판단에서다.

KT 대구·경북광역본부는 26일 대구 북구 KT북대구빌딩에서 현재 개발 중인 메타버스(확장 가상 세계) 서비스 ‘지니버스(Genieverse)와 ‘AI 서비스 로봇’ 설명회를 했다. ‘지니버스’는 KT 대표 브랜드 ‘지니(Genie)’에 메타버스의 ‘버스(-verse)’를 합성한 개념이다. ‘홈트윈 기반의 나의 삶과 가장 닮은 메타버스’라는 의미가 있다.
지니버스 대표 기능 중 하나는 ‘AI 홈트윈’을 꼽는다. 사용자가 지니버스에 가입하면 메타버스 공간에서 캐릭터가 살아갈 ‘지니홈'을 만드는데 이때 도면 기반 AI 모델링 기술을 활용, 현실에서 사는 집을 몇 번의 클릭으로 간단히 옮겨올 수 있다. 지니홈에서는 사용자가 KT 서비스 연동도 가능하다. ‘지니넷' 기능은 집 안의 KT 와이파이 신호를 측정해 방 안의 신호 강도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와이파이 맵'을 그려 준다. 또한 지니홈에 있는 TV에 '올레 tv'가 현재 송출하는 콘텐츠 정보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지니홈 밖으로 넓게 펼쳐진 우리동네 개념의 '지니타운'을 한눈에 감상할 수 있다. 지니타운은 지니홈 밖으로 널리 펼쳐진 지도로 공터에 원하는 건물을 세우거나 친구들을 초대해 대화하는 등 메타버스 공간을 누비며 자유로움을 느낄 수 있다. 지니버스가 KT 플라자, 키즈랜드 등 KT 상품과 서비스가 메타버스 공간에 개념적으로 구현 가능한 것이 특징이라고 KT 측은 설명했다.
향후 실제 KT 플라자처럼 고객 응대가 가능하도록 꾸미는 한편 키즈랜드도 어린이들이 더 큰 재미를 느낄 수 있는 어트렉션을 추가할 계획이다. KT는 이날 최신 방역 기술과 AI 로봇을 결합해 ’위드 코로나' 필수품이 될 'KT AI 방역로봇'을 선보였다.

AI 방역로봇 출시와 고객 맞춤형 '로봇 서비스 플랫폼' 비즈니스 추진을 공식화하고 로봇 서비스 시장을 선도할 계획이다. KT의 AI 로봇 서비스는 단순 제품 판매가 아닌 KT 로봇 플랫폼 기반의 종합 서비스 형태로 제공한다. 로봇 설치, 플랫폼 사용, 원격 관제, 매장 컨설팅, 현장 AS 출동, 전용보험 제공 등 AI로봇을 사용하는 고객이라면 이 모든 것을 동시에 경험할 수 있다. KT 관계자는 “대구와 경북지역은 고령층 비율이 높아 돌봄 서비스 중심으로 AI 케어로봇을 도입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