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동 메커니즘·연구 성과 등 토론
조선 세종 재위기인 1434년 처음 제작된 물시계 ‘자격루’(自擊漏·사진)의 역사적 가치와 연구 성과를 돌아보는 학술 행사가 열린다.
국립고궁박물관은 한국과학사학회와 함께 14일 박물관 강당에서 ‘과학사와 과학유산’ 학술대회를 개최한다고 12일 밝혔다. 발표 주제는 △한국 근현대 자격루 연구 약사 △세종대 천문역산학과 자격루의 실용 △조선 전기 물시계의 제작·개수(改修)와 운용 △인사동 출토 조선 전기 자동물시계의 주전(籌箭)과 자격루 △보루각루와 흠경각루의 작동 메커니즘 비교 등이다. 전용훈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는 발표문에서 “세종대 역산(曆算 : 책력과 산술에 관한 학문) 연구의 최종 성과인 자격루는 서울 기준 시간을 실용시간으로 전환해 주는 매체”라고 강조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16년 만에 태풍 없는 해](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6/128/20251026510507.jpg
)
![[특파원리포트] 트럼프가 결국 김정은을 만난다면](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6/128/20251026510499.jpg
)
![[구정우칼럼] ‘욕구 봉쇄’는 저항을 부른다](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6/128/20251026510477.jpg
)
![[김정기의호모커뮤니쿠스] ‘무라야마 담화’의 가치](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6/128/20251026510487.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