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0억 투입, 33㎞ 구간 구축
국내 첫 기능·성능·기술 동시검증

실제 도로에서 이뤄지는 상용차 자율주행 최종 실증단계의 자율운송 상용차 실증지원 인프라가 전북 새만금에 구축된다. 전북도가 추진 중인 수소차·특장차 등 상용차 산업과 연계한 시너지 효과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전북도는 군산시와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자동차융합기술원 등 참여기관과 ‘새만금 자율운송 상용차 실증지원 인프라 조성’에 관한 협약을 체결하고 본격적인 사업에 착수할 계획이라고 11일 밝혔다.
산업통상자원부 공모로 추진하는 이 사업은 기능검증과 성능검증을 마친 자율주행 차량의 기술을 실제 도로에서 최종적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자율주행 차량 기술은 레벨 0∼5로 구분되는데, 새만금에 구축 중인 실증 기반은 레벨 3∼4 수준 차량이다.
사업에는 자동차융합기술원 주관으로 한국자동차연구원, 한국전자기술연구원, 한국국토정보공사(LX) 공간정보연구원, 한국통합물류협회 등 기관·단체가 참여한다. 이들 기관·단체는 새만금과 연결되는 인근 도심과 국도, 고속도로 등 일반차와 자율차 공동 운행 환경에서 자율주행 상용차의 안정성 등을 실증한다.
이를 위해 향후 5년간 440억원을 들여 새만금 산단∼군산IC 입구(21번 국도) 33㎞를 잇는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에 실증을 위한 도로환경과 통합관제센터 등을 구축하고, 자율협력주행 기술 개발을 지원할 계획이다.
사업을 마무리하면 새만금 지역에는 국내 최초로 상용자율차 실증 기반인 기능검증(1단계)부터 성능검증(2단계), 기술실증(3단계)까지 동시에 가능한 원스톱 체계를 갖추게 된다.
앞서 새만금에는 상용차 자율주행 실증 기반 중 1단계(기능검증)인 새만금 주행시험장을 2018년 구축했으며, 2단계(성능검증) 실증 기반인 ‘상용차 자율주행 테스트베드’는 8월쯤 준공할 예정이다.
전북도는 이 사업을 통해 새만금 지역에 특화한 화물·물류 서비스 산업과 연계한 실증으로 상용자율차 상용화를 앞당기고 지역산업에 활력을 불어넣을 계획이다. 실증으로 수집한 상용차 자율주행 데이터를 기반으로 관련 기업을 유치하고 군산 전기차 클러스터와 김제 특장차전문단지, 전주·완주 수소도시, 지역 상용차 생산업체 등과 연계해 시너지 효과를 높일 방침이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