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야시 요시마사 일본 외무상이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취임식에 참석하기 위해 일본 외무상으로는 약 4년 만에 9일 한국을 방문한다.
기시다 후미오 총리의 특사로 윤 당선인 취임식에 참석하는 하야시 외무상은 이날부터 이틀 동안 한국에 머물며 윤 당선인 및 박진 외교부 장관 후보자와 면담하는 방향으로 조율하고 있다.
하야시 외무상은 출국 전 외무성에서 기자들과 만나 "한일관계는 옛 조선반도 출신 노동자('일제 강제동원 노동자'의 일본식 표현) 문제와 위안부 문제 등으로 매우 어려운 상황이지만 이대로 방치할 수 없다"고 말했다고 현지 방송 NHK가 보도했다.
그러면서 "한일관계를 건전한 관계로 되돌리기 위해 일본의 일관된 입장을 직접 전달하고 한국의 새 정권과 긴밀한 의사소통을 할 중요한 기회"라고 덧붙였다.
하야시 외상은 또 윤 당선인에게 전달할 기시다 총리 친서를 갖고 있다고 밝혔다.
일본 외무성 관계자는 이날 기자단 백브리핑에서 "하야시 외무상이 윤 당선인 및 박 후보자와 면담하는 방향으로 조율하고 있다"며 "국회의원 등 다른 인사들과 면담은 아직 확정된 것이 없다"고 밝혔다.
하야시 외무상은 이날 저녁 박 후보자와 비공개로 회동하는 방안을 조율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박 후보자가 아직 장관으로 임명되지 않았기 때문에 정식 외교장관회담은 아니지만, 기시다 내각과 윤석열 정부 외교라인의 고위급 대면이 이뤄지는 것이다. 박 후보자가 정식 임명되면 하야시 외무상의 카운터파트가 된다.
이 자리에서는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한일관계 복원을 추진할 방안에 대해 의견 교환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새 정부는 한일관계 개선 의지를 적극적으로 발신해 왔으며 이를 위해 외교당국 간 소통도 가속하겠다는 입장이다.
하야시 외무상의 방한을 앞두고 지난 3일에는 후나코시 다케히로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이 한국을 찾아 이상렬 외교부 아태국장과 국장급 협의를 하기도 했다.
다만 일제강점기 강제노역 피해자 배상 문제 등 과거사 현안에 대해서는 양측이 단시간에 의견 접근을 이루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하야시 외무상은 10일에는 윤 당선인 취임식에 참석한다.
하야시 외무상은 취임식 후 윤 당선인과 개별 면담하는 방향으로 조율하고 있다. 이 자리에서
기시다 총리의 취임 축하 친서를 전달한다는 생각이다.
기시다 총리의 친서는 윤 당선인이 일본에 파견한 한일정책협의대표단이 지난달 26일 기시다 총리와 면담 때 전달한 윤 당선인 친서에 대한 답신으로 풀이된다.
일본 외무상의 한국 방문은 2018년 6월 한미일 외교장관회담 계기로 고노 다로 당시 외무상이 방한한 이후 약 4년 만이다.
<연합>연합>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