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샤넬 측이 현재 인천국제공항 제1여객터미널에 전시 중인 ‘한글 재킷’은 지난 2018년 문재인 대통령의 부인 김정숙 여사가 2018년 프랑스 순방 때 착용한 제품이 아니라고 밝혔다. 앞서 청와대는 김 여사가 재킷 착용 후 샤넬 측에 반납했다고 밝혔고, 샤넬 측은 해당 제품을 국립한글박물관에 기증했다고 했는데 사실과 다른 셈이다.
샤넬 측은 지난 5일 “김정숙 여사가 2018년 10월 프랑스 방문 시 착용한 재킷은 샤넬 측이 대여한 옷으로 김 여사가 착용 후 바로 샤넬 측으로 반납됐다”며 “이후 지난해 11월 국립한글박물관 요청에 따라 별도 재킷을 제작해 기증했다”고 밝혔다.
이 재킷은 지난달 17일부터 인천국제공항 T1 3층 출국장에서 전시되고 있다. 샤넬이 한글 재킷을 기증한 건 김 여사가 착용해 반납했다는 시점보다 3년1개월 후의 일이다.
샤넬 측은 실제 김 여사가 착용했던 제품은 프랑스 본사 패트리모니(역사전시공간)에 보관돼 있다고 설명했다.
김 여사가 2018년 10월 프랑스 국빈 방문 시 입었던 한글 재킷은 샤넬의 수석 디자이너 칼 라거펠트가 한글을 수놓은 원단을 이용해 직접 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샤넬은 당초 인천공항에 전시된 제품이 김 여사가 착용했던 것과 동일한 제품이라고 밝혀왔다. 그러나 재킷 색상과 한글 문양 등이 다르다는 지적이 일자 결국 입장을 번복했다.
국립한글박물관 측은 “문화체육관광부 국어정책과에서 지난해 5월 샤넬이 김 여사 착장 재킷을 기증하고 싶어 하니 검토하라고 지시했다”며 “샤넬 본사와 협의해 지난해 11월 기증 확정 지은 것이다. 샤넬 본사로부터 김정숙 여사가 2018년 프랑스 순방 당시 실제 입은 옷이라고 알고 기증을 받았으며 (발언의) 진위 여부는 확인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앞서 김 여사 의상에 특수활동비가 쓰였다는 등 ‘옷값’ 의혹이 불거지자 신혜현 청와대 부대변인은 지난달 29일 브리핑에서 “샤넬에서 여사님께 한글이 새겨진 의복을 대여해줬다. 대여이기 때문에 당연히 반납했고, 그 이후에 샤넬 측에서 우리의 국립한글박물관에 기증해 지금 전시하고 있다”고 입장을 밝혔다.
탁현민 청와대 의전비서관 역시 “(김 여사가) 옷을 빌려 입고 다시 샤넬에 돌려줬더니 (샤넬 측에서) ‘한글로 디자인 돼 의미가 크니 한국에 기증하겠다’고 해서 우리나라로 기증됐고, 그게 지금 인천공항에 아마 전시가 돼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