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2년 아내·두 딸 남기고 입대
육군 9사단 30연대 배치받아
중공군 대공세 때 전사로 추정

지난해 10월28일 백마고지에서 발굴된 6·25전쟁 전사자 유해가 고 조응성 하사(현재 계급 상병)로 확인됐다.
17일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에 따르면, 조 하사는 육군 제9사단 30연대 소속으로 백마고지(395고지) 전투에서 전사한 것으로 보인다. 백마고지 전투는 6·25전쟁 당시 철원 일대 백마고지를 확보하기 위해 9사단이 중공군과 12차례에 걸쳐 공방전을 벌인 전투다. 고인은 1952년 10월 중공군 대규모 공세에 방어작전을 펼치던 중 전사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조 하사의 유해는 육군 5사단 발굴병이 기초 발굴을 진행하던 중 고인의 볼기뼈 유해가 최초로 식별됐다. 유해발굴 감식병이 정밀 발굴을 실시한 결과 개인호 바닥에 엎드린 자세로 잠들어 있던 고인의 유해를 찾았다. 발굴 당시 고인의 유해는 상반신만 모습을 드러냈다. 탄약류를 비롯한 개인 소장품으로 추정되는 만년필, 반지, 숟가락 등 유품이 함께 발굴됐다. 발굴된 철모와 머리뼈에서는 전사 원인으로 추정할 수 있는 관통 흔적이 발견됐다.
조 하사는 1928년 2월1일 경북 의성에서 3남3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부모와 함께 농사를 지으며 가정을 꾸리던 중 전쟁이 나자 1952년 5월 아내와 5살, 3살의 두 딸을 남긴 채 제주도 제1훈련소에 입대했다. 딸 조영자씨는 “어느 날 아버지가 오징어를 사와 맛있게 먹었는데, 자녀들에게 이별을 고하는 심정으로 맛있는 것을 사주신 것 같아 그 모습을 잊을 수가 없다”고 회고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