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정 부지 인근에 500여명 거주
오염물질·악취 농작물 피해 우려
대책위 집회 열고 건립 중단 촉구
대구환경청은 ‘적정’ 통보 내려
市 “민원이유로 불허할 순 없어”
‘청정지역 훼손하는 의료폐기물 소각장 결사반대.’
12일 경북 예천군 예천읍 원도심을 향하는 도로에는 의료폐기물 소각장 설치를 반대하는 현수막이 걸려 있었다. 마을 주민 김상용(74)씨는 “의료폐기물 소각시설을 주민 설명 없이 짓는 것에 분통이 터진다”면서 “두 눈에 흙이 들어가기 전까지 절대 안 된다”고 목청을 높였다.
안동시에 들어설 의료폐기물 소각시설 건립을 두고 안동·예천 지역의 주민 반대가 거세다. 오염물질과 악취가 건강을 위협하고 환경을 해쳐 농작물의 생장을 방해할 것이라는 우려 때문이다.
안동시 등에 따르면 ㈜상록환경은 2019년 9월 안동시 풍산읍 신양리 9560㎡ 부지에 의료폐기물 소각장을 짓겠다는 사업계획서를 제출했다. 예정 부지는 낙동강 본류와 5㎞ 떨어져 있다. 인근에는 안동과 예천 5개 마을 500여명의 주민이 모여 살고 있다. 이 시설의 보관 용량은 300t, 하루 처리 소각 용량은 60t이다. 대구지방환경청은 지난해 11월 상록환경이 제출한 사업계획서에 대해 적정 통보를 내렸다.
안동시는 업체 측으로부터 ‘폐기물처리시설 도시계획시설 신청서’를 받고 지난해 12월10일부터 서류를 검토하고 있다. 안동시 자원순환과 관계자는 “의료폐기물 소각장 사업계획 인허가권이 환경청에 있다”면서 “민원반발을 사유로 불허가 처분을 할 수 없기 때문에 현재로선 업체 측이 낸 서류를 제대로 검토하는 방법밖에 없다”고 말했다.
환경부에 따르면 전국의 의료폐기물 소각장은 모두 14개다. 경북 3개(경주·고령·경산), 경기도 3개(용인·연천·포천), 충남 2개(천안·논산), 부산·울산·광주·충북·전남·경남에 각각 1개다. 반면 서울·인천·대구 등의 대도시는 의료폐기물 소각장이 전무해 일부 지역에 밀집된 상황이다. 이 중 경북의 의료폐기물 발생량은 전국의 4%이다. 하지만 처리는 9배나 많은 36%를 담당하고 있다.
신양리 의료폐기물 소각장저지 대책위원회는 지난 7일 안동시청에서 집회를 열고 소각장 건립 무산을 촉구했다. 대책위는 “의료폐기물 소각장 신축은 일상생활의 불편을 넘어 재앙이다”며 “주민 생존권과 재산권을 지키기 위해 1인시위와 집회 등 모든 방법을 동원해 소각장 설치를 저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안동시의회도 주민 목소리에 힘을 보태고 있다. 6명의 시의원으로 구성된 ‘의료폐기물 소각장 건립 반대 특별위원회’를 중심으로 소각장 설치 반대에 나섰다. 김백현 시의회 부의장은 “의료폐기물 소각 시 발생하는 오염물질은 주민 생존권까지 위협할 것”이라며 “다방면으로 의료폐기물 소각장 무산 방안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