엿새만에 무력시위… 靑 “강한 유감”

북한은 11일 쏜 탄도미사일 추정 발사체의 속도는 극초음속미사일로 분류되는 수준인 마하 10(시속 1만2240㎞)인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 5일 이후 엿새 만이자 올해 들어 두 번째 무력시위다.
합동참모본부는 이날 “오전 7시27분쯤 북한이 자강도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발사한 탄도미사일로 추정되는 발사체 1발을 탐지했다”며 “비행거리는 700㎞ 이상, 최대고도는 약 60㎞, 최대속도는 마하 10 안팎”이라고 밝혔다. 합참은 “북한이 지난 5일 발사한 탄도미사일보다 진전된 것으로 평가한다”고 덧붙였다.
음속의 10배 수준인 마하 10은 극초음속미사일에 포함되는 속도다. 북한이 극초음속미사일 성능개량과 기술향상 차원에서 3차 시험발사를 단행했다는 관측이 나오는 이유다. 이에 대해 합참 관계자는 “계속 포착한 속도들이 마하 10 이상 나온 건 아니고 현재까지 최고 속도가 그 정도”라며 “(추가적인 부분은) 한·미 간 정밀분석이 필요하다”고만 설명했다. 이날 발사는 미국, 일본, 유럽 등 국제사회가 북한의 지난 5일 발사에 대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비공개회의를 개최한 직후에 이뤄졌다. 안보리 회의는 한국시간으로 이날 오전 5시쯤 열린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도 이날 오전 8시50분부터 50여분간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 긴급회의를 열어 “강한 유감을 표명한다”고 밝혔다. 지난 5일 북한의 올해 1차 발사 당시 ‘우려’보다는 대응 수위를 올린 것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날 NSC로부터 북한 미사일 발사 관련 회의 결과를 보고 받은 뒤 “대선을 앞둔 시기에 북한이 연속해 미사일을 시험발사한 데 대해 우려가 된다”면서 “앞으로 더 이상 남북관계가 긴장되지 않고 국민이 불안해하지 않도록 각 부처가 필요한 조치를 강구하라”고 지시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