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중파 방송에 출연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을 권장해온 천은미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가 정작 자신은 ‘미접종자’임을 밝혀 논란이 일자 직접 해명했다.
천 교수는 지난 3일 YTN ‘뉴스큐’에 출연해 “저는 항생제 대부분에 알러지를 갖고 있다”면서 “신종플루 유행 당시 몸이 안 좋은 상태에서 백신 접종을 한 이후 흉통이나 호흡곤란처럼 심각한 부작용으로 면역 상태가 많이 저하된 상태였다”고 자신의 상태에 관해 털어놨다.
그 이후 다른 백신 접종을 하지 못했던 상황에서 이번에 코로나19 예방 백신을 맞았다고 했다.
천 교수는 “1차 접종을 맞기 전까지 정말로 많은 고민을 했었다”면서 “코로나 환자를 보는 입장이고, 또 시청자 분께 정보를 주는 입장에서 어떤 부작용이 오더라도 이걸 꼭 맞아야 하지 않나, 솔직히 목숨을 건다는 느낌(이었다)”고 했다.
천 교수는 “생활이 곤란할 정도로 어지러움과 시력 저하를 겪었고, 멍이 수시로 들고 저림 증상 때문에 일상 운동을 할 수 없는 부작용들이 상당 기간 진행됐다. 낮았던 백혈구 수치도 더 떨어졌다”고 밝혔다.
천 교수는 의사라는 직업을 그만둬야 하는지 고민도 했다고 털어놨다.
천 교수는 “하지만 이런 부작용은 저처럼 특수한 체질인 경우 올 수 있다. 대부분의 분들은 문제가 없는 것으로 알고 있고 저희 부모님들이나 성인 가족들은 다 접종을 했다”고 말했다.
그는 ‘백신 부적합 판정을 받지 못했느냐’는 질문에는 “지금 질병청이 인정하는 부작용은 희귀혈전, 심근염, 아나필락시스 쇼크 3가지뿐”이라며 “저도 흉통을 겪었는데 심근염 진단이 잘 안됐다. 본인이 심각한 증상을 겪으면 2차를 맞기 어렵다. 이런 부작용을 (정부가) 고려하지 않는다면 많은 분들이 백신접종으로 인해 일상에 큰 장애를 겪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천 교수는 “여러 가지 검사를 통해 의료진이 그런 증상이 있었고 가능성이 높다는 진단을 해준다면 정부가 이런 분들에 대해선 ‘백신 패스 예외서’를 써줘야 소수에 대한 배려가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가 앞서 방송에서 ‘미접종’, ‘1차만 접종’ 사실을 반복적으로 고백한 것도 이런 이유에서였다고 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