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2176명으로 집계됐다.
8일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0시 기준 신규확진자가 2176명 추가돼 누적 32만7976명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입력 : 2021-10-08 09:55:28 수정 : 2021-10-08 10:01:24
정은나리 기자 jenr38@segye.com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2176명으로 집계됐다.
8일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0시 기준 신규확진자가 2176명 추가돼 누적 32만7976명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국군 포로 기억의 날 “북한에서 43년간을 제 자신과 투쟁을 벌일 수 있었던 것은 신앙심과 ‘나는 죽어도 항복하지 않겠다’는 군진(軍陣) 수칙이 힘이 됐기 때문이다. … 남은 인생은 나라를 지키는 일과 조국의 소중함, 국군 임무의 숭고함을 일깨우는 데 앞장서겠다.” 1994년 11월26일 국군 역사상 가장 긴 43년7개월 동안 육군 소위였던 조창호씨가 중위 진급 하루 만에 거
[세계포럼] 강성 지지층에 포획된 정치 정당 없는 민주주의는 상상하기 어렵지만, 민주주의 기틀을 잡은 미국 헌법엔 정당 조항이 없다. 미국 ‘건국의 아버지’들이 정당을 ‘필요악’ 정도로 바라봤기 때문이다. 정치 결사체는 필요하지만 그렇게 모인 집단은 사회 전체에 해악을 끼친다는 인식이었다. 초대 대통령인 조지 워싱턴은 퇴임 고별사에서 정당의 부정적 측면을 강조하면서 신중한 대응을 촉구했다. 워싱
[세계타워] ‘제국’의 긴 손 일본은 제국의 ‘긴 칼’이었다. ‘일제강점기’는 1905년 을사늑약, 1910년 한일합방이 아니라 1904년 러일전쟁부터 시작됐다고 볼 수 있다. 한반도를 영향권에 두려던 러시아 제국을 일본 제국이 저지하면서 대한제국은 일본의 식민지가 되었다. 전쟁에서 러시아군 최대 12만명, 일본군 최대 8만명의 젊은이가 덧없이 죽었다.러일전쟁은 대영제국 없이 설명하기
[기고] 학교 폭력, 처벌을 넘어 회복으로 지금의 학교 폭력은 대부분 학생 간의 충돌로 끝나지 않는다. 처벌을 둘러싼 긴 법정 다툼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흔하다. 정작 당사자인 학생들은 이미 화해했는데, 어른들이 막대한 비용을 써가며 계속 싸우기도 한다. 이른바 ‘교육의 사법화’가 낳은 안타까운 모습이다. 학교 폭력에 대한 무리한 사법적 접근은 학생이 공동체 안에서 자율적으로 갈등을 풀고 관계를 회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