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공동체 활성화’ ‘청년마을’
지방 정착 지원… 사업대상 확대
공공데이터 분석 ‘청년인턴’ 투입
“실무경험 축적해 전문인력 양성”
청년들 일자리를 늘리고 지역경제 활력을 높이기 위한 행정안전부 청년지원사업들이 각광을 받고 있다. 국토 균형 발전 측면에서 인구유출지역의 20∼40대 젊은층의 정주 및 취·창업 여건을 높이는 정책 지원과 함께 4차 산업혁명 시대 특히 수요가 커지고 있는 데이터 경제 관련 청년들 일자리 및 교육훈련에 힘을 쏟고 있다.
15일 행안부에 따르면 ‘청년공동체 활성화 사업’은 청년들의 지역 정착과 공동체 활동을 돕는 사업이다. 과업수행비로 800만원을 지원할 뿐 아니라 멘토 및 전문가 컨설팅, 홍보·네트워크 지원 등을 벌인다. 2018∼2020년 3년간 51개 청년공동체를 발굴·육성한 데 이어 올해는 2배 가까이 늘린 100개팀을 지원하고 있다.
청년공동체 활성화 사업이 청년들의 공동체 활동 지원을 통해 지역내 자립기반 구축과 지역 활력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면 ‘청년마을 만들기’ 사업은 인구 유출 지역을 중심으로 청년이 주체가 돼 청년 활동공간을 조성하고 지역자원을 활용한 창업·창직 프로그램을 제공해 청년들의 지역 정착을 돕는다. 시범사업으로 2018년 전남 목포 ‘괜찮아 마을’, 2019년 충남 서천 ‘삶기술학교’, 2020년 경북 문경 ‘달빛탐사대’ 1개소씩만 선정했던 것을 올해는 강원 강릉, 전북 완주, 경북 영덕 등 12개소로 확대해 마을별로 5억원씩 지원하고 있다.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사업 성과는 뚜렷하다. 이 사업은 지자체 중심의 상향식 일자리 지원을 통해 지역에서의 청년고용을 창출하고 취·창업이 지역 정착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정책 지원을 하고 있다. 지난 3년간 8만3000여명이 참여했는데, 지난해의 경우 이들의 민간취업 연계율은 61.2%, 정규직 전환율은 62.9%, 사업자등록률은 76.3%, 참여자 만족도는 97.1%에 달했다.
행안부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공공데이터와 연계한 청년인턴 사업을 벌이고 있다. 청년들에게 데이터 교육과 공공기관 등에서 현장실무를 경험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공공데이터 청년인턴 사업’의 경우 청년들이 공공기관을 도와 전년보다 2배 이상의 공공데이터를 조기에 개방하는 등 공공데이터 개방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지난해 청년인턴 수료자 대상 설문조사에서 73.6%가 “만족했다”고 응답할 정도로 데이터경제 시대에 필요한 인재 양성에 디딤돌 역할을 하고 있다.
‘공공빅데이터 청년인턴’은 청년인턴에게 젠트리피케이션 위험도, 악성체납자 예측 분석 등 공공데이터 분석업무 지원까지 맡기는 사업이다. 2019년 72개 기관 97명, 2020년 243개 608명, 2021년 226개, 880명을 배치했다. 이달 초 도로교통공단에 배치된 한 청년인턴은 “비전공자인데도 1개월의 수준별 맞춤형 사전교육과 2개월의 데이터전문교육을 통해 데이터 수집·전처리·분석·시각화 등 분석역량을 키우는 계기가 됐다”고 말했다.
전해철 행안부 장관은 이날 도로교통공단 대전세종충남지부에서 이들 인턴과 만나 “코로나19 상황에서 유례없는 취업난을 겪고 있는 청년들의 경력 개발과 취업을 지원해 나가겠다”며 “청년들의 실무경험에 도움이 되도록 필요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