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대권주자인 이낙연 전 대표가 의원직 사퇴 입장을 고수하면서 당 지도부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연일 계속된 이 전 대표의 간곡한 요청에 적극적으로 만류하던 지도부도 일단 한발 물러선 모양새지만, 사직안 처리를 추진하더라도 대선 경선 이후에나 가능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한 최고위원은 12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이 전 대표의 결기나 진정성은 지도부도 모르지 않지만 당장의 사직안 처리는 어려운 상황"이라며 "경선 종료 이후 검토해야 할 사안이라는 게 최고위원들의 공통된 의견"이라고 전했다.
이러한 지도부의 속앓이에는 여러 상황이 맞물려 있다.
우선 경선 후보의 의원직 사퇴는 추후 당이 원팀으로 대응하는 데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우려가 자리하고 있다.
자칫 연쇄적 사퇴 파동으로 이어지면서 대선 본선에서 단일대오가 흐트러질 수 있다는 것이다.
앞서 이낙연 캠프의 선대위원장인 설훈 의원도 의원직 사퇴를 선언할 예정이었으나 지도부 설득에 돌아선 바 있다.
아울러 경선 후보 중 현직인 이재명 경기지사, 김두관 박용진 의원의 현직 유지 문제도 덩달아 경선 과정에서 쟁점으로 부각될 수 있다.
일단 지도부는 13일 최고위 회의에서 다시금 의견을 수렴하겠다는 생각이다.
송영길 대표는 전날 대구·경북 경선 직전 이 전 대표와의 독대 자리에서 최고위원들과 더 논의하겠다는 뜻을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송 대표는 전날 기자들과 만나서도 사직안 처리 여부에 대해 "상의해봐야 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지도부가 '즉답'을 주지 않는 상황이 계속되면서 이 전 대표는 이 전 대표대로 난감해하는 표정이다.
본인의 결단이 자칫 정치쇼로 평가 절하되면서 사퇴 카드의 진정성이 퇴색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이 전 대표는 사퇴 선언 당시 "모든 것을 던져 정권을 재창출하겠다"는 결연한 의지를 내비쳤다.
캠프 관계자는 통화에서 "사직안 처리가 늦어질수록 그 각오와 의지가 폄훼될 수 있는데 그걸 모르는 척하는 것은 지도부의 책임 방기"라며 "후보의 판단을 존중해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연합>연합>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