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무원 시험 합격자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불합격했는데 합격 축하 메시지를 받은 10대 남성이 최종 불합격한 사실을 확인 후 극단적 선택을 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28일 부산교육청과 부산진경찰서에 따르면 지난 26일 A(19·남)군은 지난 26일 지방공무원 임용시험에서 최종 탈락한 뒤 자택에서 극단적 선택을 했다.
A군은 지난 25일 시험점수를 확인하기 위해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에 접속했고 여기서 ‘합격을 축하한다’는 메시지를 받았다. 교육청의 전산 행정 실수로 불합격자에게 합격 메시지가 전달된 것이다.
시교육청 한 관계자는 “합격자 명단 자체는 오류가 없었지만, 해당 명단 하단에 각 응시생이 필기시험 성적을 확인할 방법을 안내했으며 학생들이 성적 확인 과정에서 불합격자에게도 10분간 합격 메시지가 떠 있었다”고 해명했다.
부산시교육청은 지난 26일 오전 10시에서 10시 10분 사이 필기시험 성적열람사이트에서 성적열람자 모두에게 ‘최종합격을 진심으로 축하합니다’라는 문구가 안내됐다고 설명했다. 시교육청 측은 “오류를 인지한 후 문구가 뜨지 않도록 조치해 10시 50분쯤 정상 복구했다”고 말했다.
이에 시교육청을 방문한 A군은 ‘행정적 실수였다’는 해명과 함께 최종 불합격 소식을 전달받았고 자택에 도착한 A군은 극단적 선택을 했다.
유족들은 시험에서 불합격한 학생에게 ‘합격 축하’메시지를 뜨게 한 것으로 A군이 괴로워했다고 주장했다. 유족들은 이날 오전 2시쯤 A군 유족 10여 명은 부산시교육청을 항의 방문 한 뒤 오전 4시 15분쯤 귀가했다.
A군은 필기시험 성적이 좋았지만, 면접에서 다른 학생들이 더 좋은 점수를 받아 최종 탈락한 것으로 전해진다.
시교육청은 “지방공무원 선발과 관련해 안타까운 사안이 발생한 데 대해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비단 교육청들의 합격자를 통보하는 과정에서 교육청들의 행정 실수는 이번뿐만이 아니다. 지난 15일 서울시교육청의 지방공무원 필기시험에서도 불합격자들에게 합격통보를 했고 뒤늦게 정정해 20명이 불합격 처리되고 27명이 추가 합격하는 일이 발생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